야곱이 에사오를 만나는 장면(33,1-20) 야곱이 에사오를 만나는 장면(33,1-20) *야곱과 에사오의 긴 이야기가 끝나는 대목이다. 어머니 뱃속에서부터 시작되었던 야곱과 에사오의 갈등은 동생이 형에게 내릴 아버지의 축복을 가로채는 사건에서 그 절정을 이루었다가 야곱과 에사오의 再會로 해소된다. ⇒야곱이 그토록 마주치.. 구약성경 공부/창세기 공부 2014.04.13
야곱이 하느님과 씨름을 하다(32,23-33). 야곱이 하느님과 씨름을 하다(32,23-33). 심한 두려움에 싸여 혼자 남게 된 야곱은 : 알 수 없는 존재로부터 공격을 당한다. ⇒어느 지역에나 江가 또는 나룻터에는 : 그 일대를 맡고 있는 귀신이나 도깨비에 관한 이야기가 있다. 또한 도깨비는 밤에만 활동한다. - 이러한 민담이 배경이 된다.. 구약성경 공부/창세기 공부 2014.04.13
야곱이 에사오를 만날 준비를 하다(32,4-22) 야곱이 에사오를 만날 준비를 하다(32,4-22) *4-6절 : 먼저 종을 보낸다. 그가 전한 인사를 보자. =‘이 못난 아우 야곱이 문안드립니다. 그간 라반에게 몸 붙여 살다 보니 이렇게 늦었습니다. 지금 저는 황소와 나귀와 양떼가 생겼고 남종과 여종까지 거느리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형님께 소.. 구약성경 공부/창세기 공부 2014.04.13
야곱 이야기(창세 25,19-36장) ★야곱 이야기(창세 25,19-36장) *‘에사오와 야곱’ 이야기에서 제기되는 문제는 : 간교하고도 반윤리적인 성품을 지닌 둘째 아들 야곱이 어찌해서 도덕적으로 흠 없는 맏아들 에사오보다 더 많은 축복을 받고 선택된 민족이 되어 신앙인의 조상이 될 수 있었는가 하는 점이다. *유다교와 .. 구약성경 공부/창세기 공부 2014.04.12
야곱과 라반이 계약을 맺다(31,43-32,1). 야곱과 라반이 계약을 맺다(31,43-32,1). *야곱의 세찬 주장과 비난 앞에 라반은 : 더 이상 말을 잃고 石像을 세워 평화조약을 맺기로 한다 ⇒그들은 각자의 하느님, 즉 아브라함의 하느님과 나홀의 하느님을 두고 서약한다. ※나홀의 하느님 = 여기서 라반은 아람인이다. (아람족의 조상이 나.. 구약성경 공부/창세기 공부 2014.04.12
야곱의 귀환(30, 25-31,42) 야곱의 귀환(30, 25-31,42) *레아와 라헬의 갈등에서 이제 저자는 : 다시 초점을 라반과 야곱에게로 돌린다. ⇒아내를 얻기 위해 14년 체류키로 한 처음의 약속과는 달리 오랜 기간 동안 머물러 있던 야곱은 라반에게 떠나가게 해 달라고 청한다. - 마음대로 떠나지 못한다는 것은 당시 야곱 가.. 구약성경 공부/창세기 공부 2014.04.12
야곱 자녀들의 출생이야기(29,31-30,24) 야곱 자녀들의 출생이야기(29,31-30,24) *이야기는 : 레아와 라헬의 경쟁 이야기가 기본 줄거리를 이루고 있는 가운데 야곱의 12자녀들의 이야기가 삽입되어 있다. (그중 베냐민은 35,16-20에 나온다.) ⇒아브라함의 아내 사라와 그의 종 하갈을 연상시키게 하는 이 이야기는 : 一夫多妻制의 가.. 구약성경 공부/창세기 공부 2014.04.12
야곱과 라반의 경쟁(29,1-30) 야곱과 라반의 경쟁(29,1-30) *야곱과 라반의 이야기는 : 원래 독립된 전승으로, 야곱과 에사오의 이야기에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으며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①야곱과 라반의 경쟁 29,1-30 ②야곱 자녀들의 출생이야기 29,31-30,24 ③야곱의 귀환 30, 25-31,42 ⇒이야기는 : 일반 가정 안에서.. 구약성경 공부/창세기 공부 2014.04.12
야곱이 베델에서 꿈을 꾸다 (28,10 - 22) 야곱이 베델에서 꿈을 꾸다 (28,10 - 22)--- J *야곱은 : 아버지 이사악의 고향 브엘세바를 떠나 하란을 향해 떠나고 있다. ⇒하란은 : 야곱의 할아버지 아브라함이 살던 곳이고 야곱의 어머니의 고향이다. 아브라함이 내려왔던 그 길을 야곱이 다시 거슬러 하란으로 가고 있는 것이다. *저녁 .. 구약성경 공부/창세기 공부 2014.04.12
야곱이 에사오의 복을 가로채다(27,1-28,9) 야곱이 에사오의 복을 가로채다(27,1-28,9) *고대 근동지방에서 축복은, 더군다나 유언의 형식으로 주어지는 축복은 : 되물릴 수도, 양도할 수도 없는 것이었다. ※고대 바빌론에서 맏아들은 두 배의 유산을 상속받았는데 누지 문헌에는 어떤 사람이 자기 형제에게 양 세 마리를 받고 과수원.. 구약성경 공부/창세기 공부 2014.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