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자료 891

노후(老後)의 행복이란?

행복한 노후는 자식으로 부터 독립함으로 시작 된다.늙을수록 자식에 연연하지 말라.성장하여 가정을 이룬 자식에게 관심을 갖는 것은             사랑이 아니라 의지심의 표현일 뿐이다.자식이 잘 성장하여 독립 하였다면 그것으로 만족하라.더 이상의 기대는 금물이다. 자식농사가 부모의 노후를 보장하던 시대는 지났다.경제적으로 독립할 수 있다면 냉정하게 덧정을 끊어라.관심의 모든 것은 잔소리로 비칠 뿐이다.형제간의 갈등은 부모로부터 시작된다.그래서 형제간에 남이 되는 시초가 된다고 말한다. 부모가 자식으로부터 경제적으로 독립하지 못하면자식들 사이에 누가 부모를 어떻게 모시느냐 등갈등의 씨를 남겨주는 꼴이 된다. 부모에게는 열 자식도 짐이 아니지만.자식들에게는 부모는 짐이 된다는 현실을 받아 들어야 한다.부..

까치발 운동 효과 및 방법

우리 몸 가장 하위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종아리근육(장딴지)은 인체를 떠받히는           기둥 같은 역할을 하고 생각보다 많은 비율의 근육량을 차지하게 됩니다. 심장의 펌핑 운동으로 전신에 혈액을 공급하게 되는데 하체 종아리 근육이 발달되어 있으면             리턴 기능 즉 피를 다시 심장으로 되돌려 주는 효과가 높아져             혈액순환이 상당히 개선되게 됩니다. 일상생활에서 쉽게 종아리근육 강화를 시킬 수 있는 까치발 운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까치발 운동효과 1. 혈액순환 상승우리 몸을 구성하는 근육 중에서 큰 비율을 차지하는 부분이 종아리입니다. 보통 하체근육이 발달되면 혈관 건강이 개선된다고 하는데         그것은 혈액의 리턴 기능이 향상되기 때문입니다. 심..

이석증

이석증 1. 정의 이석증은 주변이 빙글빙글 도는 듯한 심한 어지럼이 수초에서 1분 정도 지속되다가 저절로 좋아지는 일이 반복되는 증상으로, 이석증은 어지럼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여기서 양성이란 심각한 귓병이나 뇌 질환이 없는데도 어지럼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발작성은 갑자기 증상이 발생했다가 저절로 좋아지는 일이 반복되는 것을 말하고, 체위성은 증상으로 인해 체위(자세)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원인 이석증의 증상인 어지럼증은 귓속 깊은 곳의 반고리관이라는 구조물 내부에 이석이라는 물질이 흘러 다녀서 발생합니다. 반고리관은 사람이 어떤 자세를 취하고 있는지를 알려줌으로써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구조물입니다. 관 모양이며, 내부에 액체가 있습니다. 이석은 반고리관 주..

남성 소변 자세, 앉아서 vs 서서… 뭐가 더 좋을까?

예로부터 여성은 앉아서, 남성은 서서 소변을 보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졌다. 하지만 최근 남성이 서서 소변을 보면 위생상 좋지 않다는 의견이 많아지면서 앉아서 소변을 보는 남성이 증가하고 있다. 건강상으론 남성이 앉아서 소변을 보는 것과 서서 소변을 보는 것 중 뭐가 더 좋을까? 남성의 요도 길이와 모양을 따져보면 서서 소변을 보는 게 더 좋다. 대구코넬비뇨기과의원 이영진 원장은 "여성은 요도 길이가 4cm로 짧은 편이고 직선 형태지만, 남성은 요도 길이가 25cm로 길고 S자 모양"이라고 말했다. 여성은 앉아서 소변을 봐도 직선 형태라 배출에 용이하지만, 남성은 앉아서 소변을 보면 요도의 S자 모양이 더 구부러져서 소변이 잘 나오지 못해 잔뇨감을 느낄 수 있다. 이 원장은 "남성이 서서 소변을 볼 땐 음..

♣ 록펠러의 삶 ♣

룩펠러는 33세에 백만장자가 되었고 43세에 미국의 최대 부자가 되었고 53세에 세계 최대 갑부가 되었지만 행복하지 않았습니다. 55세에 그는 불치병으로 1년 이상 살지 못한다는 사형 선고를 받았습니다. 그리고 최후 검진을 위해 휠체어를 타고 갈 때, 병원 로비에 실린 액자의 글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주는 자가 받는 자보다 복이 있다.” 그 글을 보는 순간 마음속에 전율이 생기고 눈물이 났습니다. 선한 기운이 온몸을 감싸는 가운데 그는 눈을 지그시 감고 생각에 잠겼습니다. 조금 후 시끄러운 소리에 정신을 차리게 되었는데 입원비 문제로 다투는 소리였습니다. 병원 측은 병원비가 없어 입원이 안 된다고 하고 환자 어머니는 입원 시켜 달라고 울면서 사정을 하고 있었습니다. 룩펠러는 곧 비서를 시켜 병원비를 지..

"걷기만 하면 안 돼요"...노년층을 위한 근력운동

노년층에게 '걷기 운동'은 질환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하는 '특효약'과 같다. 국내·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걷기 운동은 노인의 심혈관질환, 우울증, 치매 위험을 낮추고, 사망 위험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만, 걷기 운동만 해서는 안 된다. 노년층은 근력운동을 어떻게 할지 몰라서, 혹은 부상을 당할까 두려워서 선뜻 근력운동에 도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건강을 생각한다면 유산소 운동과 근력운동을 모두 해야 한다. 노년층, 근력운동도 같이 해야 하는 이유 나이가 들수록 근력이 떨어지고 근육량이 감소한다. 이는 누구나 겪는 자연스러운 노화 현상이지만 빠지는 근육을 절대 그냥 둬서는 안 된다. 근육량이 감소하면 기초대사량이 떨어져 살이 찌기 쉬운 몸이 되고, 조금만 움직여도 피곤하기 때문. 또 비만,..

건강한 장수비결 10

과학기술이 발달할수록 인간의 기대수명은 점점 길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픈 몸으로 오래 사는 것은 오히려 고통일 수도 있다. 과연 100세 시대를 뒷받침하는 건강하게 오래 사는 비결이 있을까? 누구도 노화는 막을 수 없지만, 중년부터 준비하는 노년의 건강 관리법은 더욱 중요해졌다. 건강한 장수의 비결 10가지를 알아본다. ◆ 하루 30분 이상, 빨리 걷기 걷기는 누구에게나 좋은 운동이다. 중요한 건 속도. 숨이 가쁘고 땀이 날 정도로 빨리 걷는 것이 효과적이다. 하루 30분이면 몸은 물론 두뇌를 최선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밖에서 햇볕을 받으며 걷는다면 금상첨화이다. 기분이 밝아지고 비타민 D도 생겨난다. ◆ 하루 10시간 이상 공복 유지 계속 먹는다면 위가 쉴 틈이 없어진다. 소화 기관에도 휴식이 필..

고해성사를 제대로 받는 법

1. 고해성사 방법 (1). 고해소 밖에서 : ①먼저 조용히 모든 죄를 알아내고, ②진정으로 뉘우치며, ③다시는 범죄하지 않을 굳은 결심으로, ④겸손 되이 ?고백의 기도?와 ?통회의 기도?를 바친다. (2). 고해소에 들어가서 : ①(십자를 그으며)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②고해성사 받은 지 (몇 일, 몇 주일, 몇 달) 됩니다. ③알아낸 죄를 일일이 구체적으로 고백한다. ④(죄를 고백한 후에) 이 밖에 알아내지 못한 죄에 대하여도 통회하오니 사하여 주십시오. (3). 사제는 : 고백자에게 훈계와 보속을 준다. (4). 고백자는 : 밖에 나와서, 또는 가까운 시일 안에 훈계와 보속을 이행한다. 2. 고백할 때 유의점 ①고백은 = 정확하고, 간결하며, 겸손하고, 솔직하며, 낱낱이 해야 한다..

가장 멋진 인생이란...

가장 멋진 인생이란... 가장 멋진 인생이란 늘 배우려고 노력하는 사람이고 가장 넉넉한 사람은 자기한테 주어진 몫에 대하여 불평불만이 없는 사람이고 가장 겸손한 사람은 자신이 처한 현실에 대하여 감사하는 사람이다. 가장 건강한 사람은 늘 웃는 사람이며, 가장 인간성이 좋은 사람은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살아가는 사람이다. 가장 훌륭한 자식은 부모님의 마음을 상하지 않게 하는 사람이며, 가장 좋은 인격은 자기 자신을 알고 겸손하게 처신하는 사람이고, 가장 훌륭한 삶을 산 사람은 살아있을 때보다 죽었을 때 이름이 빛나는 사람이다.

초심(初心)을 잃지 않고 사는 지혜

初心을 잃지 않고 사는 지혜 우리가 아껴야 할 마음은 初心입니다. 훌륭한 인물이 되고, 중요한 과업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마음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첫째는 초심, 둘째는 열심, 그리고 셋째는 뒷심입니다. 그 중에서도 제일 중요한 마음이 초심입니다. 그 이유는 초심 속에 열심과 뒷심이 담겨 있기 때문입니다. 초심에서 열심이 나오고, 초심을 잃지 않을 때 뒷심도 나오기 때문입니다. 초심이란 무슨 일을 시작할 때 처음 품는 마음입니다. 처음에 다짐하는 마음입니다. 초심이란 첫사랑의 마음입니다. 초심이란 겸손한 마음입니다. 초심이란 순수한 마음입니다. 초심이란 배우는 마음입니다. 초심이란 견습생이 품는 마음입니다. 초심이란 동심입니다. 피카소는 동심을 가꾸는데 40년이 걸렸다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초심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