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자료/성경 일반 자료 540

산(山)

*산은 : 언제나 올려다보아야 하는 곳. ⇒산은 : 사람들에게 평지의 생활공간과 전혀 다른 세계로 인식. 그래서 산은 성스러운 공간.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도 산은 숭배 대상이었고,                 山神이 마을의 평화와 안녕과 농사도 주관한다고 믿었다. *성서를 읽다 보면 산이 많이 등장. ⇒성서에서 산은 : 인간이 Ɵ과 만나서 대화하고 기도하는 장소. 1. 구약성서 : ①산은 : 계시의 장소 시나이에 있는 호렙산은 모세가 소명을 받은 거룩한 땅이고(출애 3,15),                하느님께서 율법을 선포하신 거룩한 곳. ⇒그래서 산은 Ɵ 영광을 드러내는 장소였다(출애 24,12-18참조). ②산은 : 예배 장소로 하느님과 만나는 곳 θ께 제사를 거행한 곳은 항상 지면보다..

성경시대의 도로

성경시대의 도로 1.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는 말은 :              로마제국의 광대함과 위대함을 은연중에 내포하고 있고,              실제로 대 제국을 이룩했던 로마는 도로 건설에 심혈을 기울였다.      도로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역사, 정치, 경제, 문화에 큰 영향을 끼친다.      유럽 곳곳에는 아직도 로마 도로의 흔적이 남아 있다. 2. 이집트와 바빌론 사이에 있던 이스라엘에는 :             오래 전부터 중요한 국제 도로가 형성되어 발달했다.      지리적 여건상 좋은 항구가 없었고                 해상 활동에 익숙하지 못했던 이스라엘은                  이웃 국가들과 교류를 도로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3. 이스라엘의 도로 형..

사마리아

사마리아 (이방인의 땅 사마리아) 1. 성서에 보면(요한 4장, 사마리아 여인과의 대화), 유다인들은 : 예수님이 사마리아 지역으로 직접 들어가                      사마리아인에게 말을 거는 것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 ⇒당시에는 : 이스라엘 사람과 사마리아 사람들의 접촉은 물론                       대화도 금지되어 있었기 때문.      그래서 유다인들은 남쪽 유다에서 북쪽 갈릴래아로 갈 때                  사마리아 땅을 밟지 않고 두 배나 되는 먼 길을 이용하였다. 2. 유다인들과 사마리아인들은 왜 그토록 원수지간일까? 이방인 지역이라 지칭하는 사마리아지역도 : 본래는 유다땅             지금의 Is 전체를 보더라도 우리나라의 경상도 정도의..

성전과 회당

성전과 회당 성 전 회 당 예루살렘 마을마다모든 활동의 중심, 이스라엘의 중심                           : 종교, 경제, 정치.일상생활에서 종교의 중심.․성전은 : 경신례를 바치는 곳, ․이스리엘 백성은 : 주로 대축일에                  예루살렘 성전에 가서 참배.․전례×.․회당은 : 백성이 모여 기도하고                 θ의 말씀과 설교를 듣는 곳 ․성년 된 Is 사람은 :               누구나 회당에서 성서본문을                낭독, 설명, 설교를 할 수 있다.사제들이 영향력과 권력을 행사 : ①사제들은 θ께 더욱 가까이 있고, ②정결하고 불결한 것을 그들이 결정하고, ③정결해지기 위하여 행해야 할 정결례도 집행. 사제..

회당 예배

유다교의 회당 예배는 : 크게 두 부분으로 구분되는데, 1. 의식적인 부분은 :      ‘셔마 이스라엘’(들어라 이스라엘)이라는 신앙고백과 ‘18조 기도문’이 포함되고, 2. 교훈적인 부분은 : 성서를 읽는 ‘독서’와 그에 대한 ‘해설’이 포함된다. 다시 설명하면,①‘셔마 이스라엘’은 : 하느님을 찬양하는 문구를 담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신명 6,4-5만 옮겨보면,              “들어라 이스라엘아, 야훼 한 분뿐이시다.                마음을 다 기울이고 정성을 다 바치고 힘을 다 쏟아               하느님 야훼를 사랑하라”이다. ②‘18조 기도문’은 : 18개의 간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매 간구가 끝날 때마다 회중은 ‘..

팔레스티나

팔레스티나는 : 北쪽의 메소포타미아와 南쪽의 이집트 사이의 길목에 자리잡고,        지중해를 통하여 유럽과도 교류할 수 있어 상업과 무역이 활발하였던 지역으로, ①야훼께서 약속하신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 할 만큼 비옥한 초생달 지대에 위치하고, ②4대 문명의 발상지 중 두 곳,          = 나일강 문명과 메소포타미아 문명을 잇는 길목. ③그래서 이 지역은 크고 작은 싸움이 끊이질 않았다. ⇒이처럼 교역의 중심지인 팔레스티나는 :               고대 근동의 강대국들이 서로를 침략하기 위해                지나가야 하는 길목이었기 때문에 한시도 평온한 날이 없었다. 1. 地名 : 우리의 관심을 끌고 있는 조그만 땅(경상도보다 작은 나라),             ..

묵시문학(黙示文學)

묵시문학(黙示文學)이란? 1.시기 : 기원전 200년경 - 서기 100년경 사이에 이스라엘에선 묵시문학이라는 종교문학이 성행했다. 2.시대상황 : 이 시대는 Is 민족이 시리아 정권의 박해와 로마제국의 압제 아래 몹시 시달리던 난세였다. 묵시문학은 정치적 혼란 시기에 나오는 일종의 亂世 종교문학. 3.목적 : 아무리 애써 봐도 곤경을 벗어 날 길이 없기 때문에 失意에 빠진 백성에게 희망을 불어넣어 주고자 하는 종교적 염원. ⇒즉, 묵시서는 : ①저자를 숨기고 假名을 쓴다. ②잘 알아들을 수 없는 상징어를 사용한다. ③묵시서가 쓰여질 때에는 대단히 위기상태이다. ⇒따라서 말을 못하고 언론의 자유가 없는 시대, 모든 것이 획일적인 시대, 모든 것을 한 입으로만 말하는 시대, 말을 하면 권력자에게 끌려가 조사..

예루살렘

예루살렘 ①예루살렘은 3천여 년 전에 다윗왕에 의해 수도로 정해졌다. ②오늘날 유다교, 그리스도교, 이슬람교 세 종교가 이곳을 聖都로 삼고 있다. ③유다인들에게 : 이곳은 솔로몬왕이 세운 성전이 있었던 성스러운 곳. ④그래서 이 자리는 유다교, 그리스도교, 이슬람교 모두에게 지극히 소중한 자리이다. 유다교의 성전이 있던 곳이자 예수께서도󰡐기도하는 곳󰡑으로서의 역할을 기대하셨던 곳이었고, 이슬람교도에겐 마호메트의 승천 장소로 메카, 메디나 다음으로 소중한 장소이다. ⇒이 성전은 : 바빌론 유배에서 돌아와 재건되었고, 헤로데 왕이 다시 증개축했는데 로마인들이 파괴했던 곳이다. 이 성전에서 통곡의 벽인 서쪽 벽이 남아 있어서, 오늘날에도 유다인들이 이곳에 기도하러 간다. 그리스도인들에게는 : 예수님이 가르치시..

평신도 사도직

*平信徒 使徒職이란? : 평신도가 부여받은 사도직으로, θ께 영광을 드리고 θ 나라를 건설하기 위하여 평신도가 수행하는 모든 활동을 말한다. *平信徒란 : 교회를 이루는 하느님 백성 가운데 성직자와 수도자 신분을 제외한 모든 세례 받은 신자. 사도직은 : 사도의 직무를 말하고, 사도(使徒)는 : 사명을 띠고 파견된 사람으로, ‘파견’ 또는 ‘사명’을 뜻하는 그리스말 아포스톨레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우리는 예수님의 열두 제자를 사도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제자들이 하느님 나라를 선포하도록 예수님에게서 파견된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평신도들은 : 세례를 받으면서 θ 자녀가 됨과 동시에 θ 나라 건설을 위한 일꾼으로 파견된다. 평신도는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의 肢體로서 교회 안에 몸담고 있지만 평신도의 고유한 삶..

예언과 신탁

1. 예언이란? *우리말의 예언에 해당되는 한자어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①예언(豫言)과 ②예언(預言)이다. ①예언(豫言)은 : ‘미리 예’와 ‘말씀 언’이 합쳐서 ‘미래의 일을 먼저 말함’을 의미하고,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예언의 의미가 여기에 해당된다. ②그러나 예언(預言)은 : ‘맡길 예’와 ‘말씀 언’이 합쳐져서 ‘말씀을 맡김’을 의미하고, 성경이 말하는 예언은 여기에 해당된다. ⇒마치 우리가 은행에 돈을 맡기는 것을 預金이라고 하듯이, θ께서 가장 신뢰할 만한 존재에게 당신 자신(‘말씀’은 곧 θ)을 맡겨 주시는 것을 성경에서 말하는 예언(預言)이다. (≒Ɵ의 대변자) *前者의 豫言이 : 미래의 것을 알아맞힌다는 의미에서 ‘미래적 관점’에 집중한다면, 後者의 預言은 : ‘현재적 관점’에 집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