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자료/성경 일반 자료 561

성경 읽기 방법

성경 읽기 방법 ; 성경읽기 작심삼일 되지 않으려면 단단히 먹은 마음이 사흘을 넘기지 못한다는 作心三日, '성경통독 도전'을 선언하고 창세기부터 펼친 사람치고                  이 사자성어에 굴욕(?) 당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엄청난 두께에 지치고, 깨알 같은 글씨에 금세 지루함을 느껴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성경에 맛들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이인옥(체칠리아, 수원가톨릭대 성경연구실) 실장에게             성경을 즐겁게 읽을 수 있는 비결을 물었다. 이 실장은 "성경을 '재밌는 이야기'라고 생각하고 부담 없이 읽으라"며                   “성경읽기를 목표로 하지 말고, 말씀 안에 머무르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고 조..

신구약 중간사 범위와 의미

말라기예언자부터 예수의 등장 사이에는 약 400여 년이라는 시간이 존재한다. 말라기를 읽고 마태오복음을 펼친 독자는 순식간에 약 4세기를 뛰어넘은 셈이다. 성경만으로는 이 기간에 일어난 일을 알 수 없다. 하느님은 ‘나의 사자’를 마지막으로 세례자요한 전까지 자신의 백성을 향해 침묵하셨다. 이 400여 년의 시간을 신구약 중간사 혹은 중간기라고 부른다.  신약성경 이해의 첫 단추신약성경은 많은 왕조의 발흥과 쇠퇴를 단숨에 뛰어넘고                    독자를 거대 제국 로마로 안내한다. 독자는 바리사이, 사두가이 등 구약에서 발견할 수 없는 유대교의 분파들을 만나고,             수전절 같은 새로운 절기를 보게 된다. 분봉왕, 회당 등 낯선 단어도 발견한다. 때문에 성경, 특별히 ..

신구약 중간기에는 무슨 일이 있었는가?

구약의 말라기 이후부터 예수님께서 등장하시기까지 약 400여 년 동안을            “신구약 중간기” (또는 “신구약 중간사") 라고 부릅니다. 이 기간 동안에 하느님으로부터 오는 예언의 말씀이 없었기 때문에           , "400년의 침묵기"라고 부릅니다. 이 기간 동안에 팔레스타인의 정치적, 종교적, 사회적 분위기는 크게 바뀌었습니다. 그때 발생한 일들의 대부분은 예언자 다니엘에 의해 예언되었습니다 . 이스라엘은 기원전 532-325년경에 페르시아 제국의 통치하에 있었습니다. 페르시아인들은 유대인들이 거의 아무런 간섭을 받지 않고                그들의 종교를 유지하도록 허용하였습니다. 그들은 심지어 성전을 재건하고 그곳에서 예배하는 일도 허용했습니다. 이 기간은 구약 성경 ..

소 아시아

小 아시아는 오늘날의 터키이다. 특히 아시아 쪽 반도를 가리킬 때 사용하는 말이다. 처음에는 그냥 아시아로 불렀다.그러다 아시아가 동쪽으로 엄청 크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소아시아로 부르게 된 것이다.로마인들은 아나톨리아라 불렀다. 해 뜨는 곳이란 의미다. 그들에게는 동쪽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초대교회 때는 묵시록에 명시된 일곱교회가 이곳에 있었다(묵시 2장~3장).그만큼 로마시대에는 그리스도교가 활발했던 곳이다. 기원전 18세기를 풍미했던 히타이트 제국 역시 이곳에서 번성한 나라다. 다윗의 심복이었던 '우리야'는 히타이트 출신으로 이스라엘에서 출세한 군인이었다.그의 부인이 훗날 솔로몬의 어머니가 되는 '밧 세바'다. 아무튼 이 지역은 아시아와 유럽이 만나는 곳이며, 이집트에서 희랍..

셀라(selah)

셀라(selah)는 시편에 71번이나 등장하는 특수 용어다.하지만 아직까지 확정적인 해석은 없다. 몇 가지 이론적인 주장들이 있지만               오늘날은 상호 보완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1. 일반적인 해석은 '멈춰서 듣는다'라는 의미다.다시 말해 읽는 이에게 '잠시 멈추어 앞부분을 생각하라'는          권고로 보는 견해다. 중지한다는 뜻이 되겠다. 2. 다음은 '강조의 의미'다.이 주장은 셀라의 원형을 히브리어 솔라(sollar-높이다)의 변형으로 보든 데서 착안되었다.따라서 소리가 없는 구간에서는 간주를 크게 하라는 표시일 뿐이라는 것이다. 3. 한편 이러한 해석의 영향으로 '다음 내용은 고상한 내용'이니              악기 소리를 다시 조정하라는 뜻으로 풀이하는 ..

계약 궤

★계약 궤(탈출 25,10-22 ; 37,1-9) 계약궤는 : ①아카시아 나무를 사용해 직사각형 모양으로 만들어,                       순금을 입혀서 들고 운반할 수 있도록 손잡이를 달았다. ②십계명을 기록한 돌판이 궤 안에 들어 있었다. ③계약궤는 θ이 백성들과 함께 한다는 것을 상징하기 때문에,                    히브리인은 가나안에 도착할 때까지 항상 이 궤를 가지고 다녔다.  ①계약 궤의 형태 지성소 안에 둔 계약 궤는 : ․안팎을 금판으로 입힌 직사각형의 아카시아나무 상자였는데,              길이가 2,5암마(약 1,2m), 너비와 높이가 각각 1,5암마(약 75cm)였다. ․궤 위에는 금으로 만든 둥근 테가 있고, 네 개의 짧은 발에는 금고리..

사해사본과 쿰란사본 : 사해 두루마리

쿰란 공동체는 기원전 150년경 에세네파가 시작했고        기원후 68년경 반란을 진압하던 로마군에 의해 사라졌다.이 과정에서 고문서들이 주변 동굴에 감춰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굴들은 공동체 주거지역에서 125m에서 1km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사해사본과 쿰란사본은 다르다.사해사본은 사해 주변에서 발견된 모든 문서를 말하고,         쿰란사본은 쿰란 공동체 인근 11개 동굴에서 발견된 사본만을 가리킨다.쿰란사본은 사해사본의 일부인 셈이다.사본 가운데는 두루마리 형태를 취한 것이 대부분이다.쿰란 공동체가 있던 곳은 현재 이스라엘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원래 요르단 소속이었지만 1967년 6일 전쟁 이후 이스라엘 땅이 되었다.이곳에는 기원전 2세기부터 성경을 필사하던 도서관과 공동식당,  ..

가자지구

하마스는 ‘이슬람 저항운동’을 뜻하는                 아랍어 Harakat al-Muqaqama al-Islamiyya 머리글자를 딴 약칭이다.1980년대 조직되어 팔레스타인 해방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가자’라는 지명은 기원전 12세기 경부터 나타난다.당시 ‘블레셋 족’을 대표하던 다섯 도시 중의 하나였다.‘여호수아기’에도 다섯도시의 이름은 등장하고있다.“이집트 동쪽 땅에는 가자, 아스돗, 아스클론, 갓, 에크론이 있었다.”(여호13,3)‘가자지구’의 위치는 ‘시나이 반도’ 북서쪽으로 이집트와 이스라엘 사이의  국경을 이룬다.지중해를 접한 바닷가에는 ‘가자시’Gaza City 가 있다.다윗 임금은 재위 내내 블레셋 족과 싸웠고 그들을 정복시켜 나갔다.하지만 끝까지 정복하지 못..

40이라는 숫자

고대 근동에서 4는 동서남북을 가리키는 완전 숫자였다.10 또한 9가 채워졌기에 완전 숫자였다.둘을 곱한 숫자가 40이다. 더는 완벽한 숫자는 없었다. 구약성경에 등장하는 40이란 숫자는 이렇듯 완전과 완벽의 의미를 담고 있다.가장 먼저 등장하는 40은 노아 홍수때다.비 내리는 기간이 40일이었다(창세 7,12).우연 같지만, 사실은 철저하게 내린 비를 가리킨다.히브리인들은 이집트를 탈출한 뒤 광야에서 40년을 보냈다.지내다 보니까 그렇게 된 것이 아니다.그만큼 완벽하게 헤매었음을 알리고 있다.모세 역시 십계명을 받기 전 시나이 산에서 40일간 단식했다(탈출 24,18).온 힘을 다해 준비했다는 암시다.그런데 백성들이 송아지를 만들어 섬기자 십계판으로 부순 뒤  또다시 40일간 단식했다.이번에는 물도 마..

아람어

아람어는 원래 아람국의 언어였다.이스라엘과 북쪽 국경을 맞대고 있으면서 수없이 전쟁을 일으켰던 나라다.수도는 다마스쿠스였고 이들의 후신이 지금의 ‘시리아’다.문둥병에 걸렸다가 예언자 ‘엘리사’를 만나 완쾌된 ‘나아만’ 장군은                아람국의 군인이었다(2열왕 5,1-19).아람어는 이스라엘의 문헌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예수님께서도 히브리어가 아닌‘아람어’를 사용하셨다. 신약성경에는 예수님의 말씀을 ‘발음 그대로’ 기록한 말이 있다.‘에파타’(마르 7,34) ‘탈리타 쿰’(마르5,41)과 같은 말이다.주님께서 이 말씀을 하시자 곧바로 기적이 일어났기에                놀란 목격자들이 ‘발음 그대로’ 전했던 것이다.우리가 알고 있는 아람어다. 히브리어는 아브라함 가족이 그들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