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자료/카톨릭 상식 63

모령성체

冒領聖體란 죄인이 죄의 사함을 받지 않고                     성체를 받아먹는 독성 행위(瀆聖行爲)                      즉 성체성사를 모령하여 받음으로써 성립되는 중죄(重罪). 영성체는 그리스도 의 거룩한 몸과 피를 나누어 먹고 마심으로써                  일치와 사랑을 드러내고 구현하는 것이므로                 영성체 를 하기 위해서는 은총 의 지위가 필요하다. 은총 의 지위에 있지 않은 신자가 스스로 중죄 중에 있음을 의식하면서              영성체를 하는 경우 모령성체가 된다.

스카풀라(scapula)

성물방에 가면 쉽게 볼 수 있는데요. 보통 성모님 그림이나 글귀가 적힌               두 개의 작은 천이 긴 끈으로 연결된 형태의 물건입니다.스카풀라는 생김새 때문에 ‘목걸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런데 사실 스카풀라는 목걸이가 아니라 옷입니다.수녀님들이나 수사님들이 꼭 앞치마 비슷하게 몸 앞뒤로 길게 걸쳐 입고 있는                        옷을 보신 적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이 옷이 바로 스카풀라입니다. 스카풀라(scapula)는 라틴어로 ‘어깨’라는 뜻입니다. 어깨너비의 천을 몸 앞뒤로 길게 늘어뜨려 입는 소매 없는 겉옷이기에                     이런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스카풀라는 초기에는 수도자들이 일할 때 수도복 위에 걸쳐 입는 옷이었는데요.  ..

수도회와 구분

1. 수도회 *수도회는 : 청빈, 정결, 순명의 복음적 권고를 서약하고                  일정한 규칙(회칙과 회헌)에 따라 공동생활을 하며                  하느님 나라의 영광과 인류 구원을 위해                  고유한 사도직 활동을 실천하도록 교회 관할권자에 의해                  교회법적으로 설립된 會를 말한다.(교회법전 제537조 참조) ①수도회들의 공통된 특징 중 하나는 : 복음적 권고를 공적으로 서원하는 것이다. ⇒복음적 권고란 :㉠하느님 나라에 부를 쌓기 위해 자발적으로 실천하는 가난,㉡하느님 나라를 위해 스스로 고자가 되고                또 장가가는 일도 없고 시집가는 일도 없는                하느님 나라의 삶을 앞..

신부님의 생활과 은퇴시기

- 본당신부는 소속본당에서,    수도회신부는 소속수도회에서 생활비 제공   군종, 교육, 전문, 특수사목신부는 소속기관에서 제공, 필요시 교구에서 제공    " 성전에서 일하는 사람은 성전에서 나오는 것을 먹고살며,              제단을 맡아보는 사람은 제단 재물을 나누어 가진다는 것을 모르십니까?               이와 같이 복음을 전하는 사람들도 그 일로 먹고 살 수 있도록               주님께서 제정해 주셨습니다."(고린토 전서 9장, 13장) - 은퇴는 보통 75세(교구에 따라 조금씩 다름),              소속교구에서 생활책임              은퇴시기는 나이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담당주교님과 개인이 결정

사제, 성직자, 신부의 호칭

사제는 주교 (교황, 추기경, 대주교 포함)와 신부를 가리킨다. 성직자라고 하면 여기에 부제가 더 포함된다. 부제는 성직자이지만 사제는 아니다.  신부는 사제서품을 받은 성직자.가톨릭교회의 성직자는 副祭·司祭·主敎의 3계층이 있는데,                        사제를 신부라고 부른다. ‘영신적 아버지’라는 뜻이며, 서양에서는 ‘아버지’라 부른다.신부는 미사를 비롯하여 聖務를 집행하므로             하느님과 인간의 중개자로 존경을 받는다. 인간을 대신해서 하느님께 제사를 드리고             하느님의 은총을 인간에게 베풀어 주는 聖事를 집전한다.또한, 하느님의 진리를 인간들에게 가르치며          맡겨진 성당의 신자들과 재산을 관리한다. 가톨릭교회에서는 신부가 되기 전에..

콩나물에 물을 주듯이

[성경 맛들이기] 콩나물에 물을 주듯이 신앙은 정체되어있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성장해가는 것입니다. 그런데 신앙이 계속해서 변화하고 성장하는 성숙한 신앙인이 있는가 하면             성장이 멈춘 신앙생활을 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성숙한 신앙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삶의 목표나 가치관이 달라지고,             자기중심적인 삶에서 타인에게 관심을 가지고,             그들을 사랑하고 섬기기 위해 노력합니다. 그에 반해 오랜 신앙생활을 하면 신앙이 자연스럽게 성장한다고 착각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성장이 아니라, 습관적인 신앙생활에 익숙한 신앙입니다. 시간이 흘러가면서 공동체 생활에 익숙해지고, 전례 참여나 활동 등에             습관적으로 젖어 드..

알파(Α)와 오메가(Ω)

A(알파)와 Ω(오메가)는 헬라어 알파벳의 첫 글자와 마지막 글자이다.알파와 오메가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온 세상의 주관자로서            처음과 마지막이 되신다는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알파(Alpha)는 헬라어(그리스어) 알파벳의 최초의 문자이고,                        영어 A에 해당된다.신약에서는 하느님 또는 예수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이름으로 씌어져 있다.오메가(The Omega)는 헬라어로 Ω(to omega), 영어로 The Omega로          그리스어 알파벳의 최종의 문자(W)로 관사를 동반하여           하느님 자신의 명칭으로서 또는 그리스도의 명칭으로서 씌어져 있다. 알파와 오메가라는 뜻은 처음과 나중, 시작과 끝을 의미한다.이 말은 곧 언제나 영원히..

교황 선출 방법

교황이 사망하거나 사임하면, 카톨릭 교회의 추기경들이 모여              새로운 교황을 선출하는 회의를 엽니다. 이 회의를 '콘클라베'라고 합니다.콘클라베에 참석한 추기경들은 비밀 투표를 통해 교황을 선출합니다. 투표는 여러 번 진행될 수 있으며, 각 투표 후에는 결과를 공개하고,             교황이 선출되면 하얀 연기가 나오는 방식으로 알려집니다.  1. 교황 선거의 주체 전 세계 가톨릭 교회의 주요 지도자인 추기경들로 구성되며,              교황 선출권을 가진 인원은 선거 시 기준으로             만 80세 미만인 추기경만 참여할 수 있습니다. 2. 선출 장소와 조건 장소는 이탈리아 로마 바티칸의 시스티나 성당에서 진행됩니다.모든 선거 과정은 철저히 비밀로 진행되..

성시간(성체강복)

성시간은 말 그대로 “거룩한 시간”으로서 예수성심에 관한 신심 중                 대표적 기도라 할 수 있습니다. 한 시간 동안 겟세마니 동산에서 예수님께서 홀로 맞으신 고통을 묵상합니다. 예수님께서 최후 만찬 뒤 겟세마니(혹은 올리브) 동산에 제자들과 함께 가셨지만                    제자들은 계속 밀려오는 잠을 이기지 못하고 주님을 지켜드리지 못했습니다.                     “너희는 나와 함께 단 한 시간도 깨어 있을 수 없더란 말이냐?”(마태 26,40) 하셨던                     예수님의 말씀에 한 시간의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성시간이 시작된 것은, 성녀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에 의해서였습니다. 마르가리타 성녀가 환시를 통해 예수님께..

헌금의 유래와 의미 ?

- 초대교회때부터 헌금이 있었음. (사도행전, 고린토전서)- 4세기때 헌금이 미사중에 봉헌되고 전례적인 성격을 갖추게 됨.- 헌금은 하느님께 대한 감사의 표시- 헌금을 내는 것은 신앙인으로서 지켜야 할 기본적인 의무- 하느님의 사랑과 보살핌에 답례하기 위해서                   흠숭과 찬양, 경배의 마음으로 물질적으로 드리는 것.- 자기 정화의 의미가 담겨 있음.- 자발적인 신앙심에서 헌금을 내야 함.- 이웃 사랑의 실천, 자기 희생의 상징- 평신도는 사제와 함께 희생제물에 자신을 포함시켜 하느님께 봉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