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자료/카톨릭 상식 43

가톨릭 교회의 4가지 특징은 ?

① 하나인 교회- 오직 한 분이신 하느님을 모심- 하나의 신앙을 고백- 그리스도와 한 몸을 이루어 한 분이신 성령에 의해 생명을 얻음- 전례에 있어서도 교황님을 중심으로 교계제도안에서 일치를 이루고 있음 ② 거룩한 교회- 교회의 거룩함- 거룩함의 근원이신 하느님께서 교회 안에 살아 계시고,                  그리스도께서 친히 교회를 세우셨다는 뜻- 신자들은 은총에 의해 성화 되고 거룩해 짐 ③ 보편적인 교회- 그리스도께서는 모든 사람들을 위해 구원하러 세상에 오셨다는 의미- 하느님의 구원의지에 따라 모든 시대와 모든 민족,                   모든 사람에게 복음을 전하 고 구원의 은총으로 이끔 ④ 사도로부터 이어오는 교회

예수님의 칭호에는 ?

① 그리스도- 그리스어 '크리스토스'에서 유래, '기름을 발라 축성된 임금'이란 뜻. ② 구세주- 세상을 구원하기 위해 태어나셨다는 뜻- 인류의 죄악과 파멸에서 구원하신다는 의미 ③ 메시아- 히브리어 '마시아'(기름 부음을 받은 자)에서 유래, 왕이신 예수님을 강조 ④ 랍비- 구약성서에서는 '나의 주인', 신앙성서에서는 예수님을 가르키는 '선생님' ⑤ 성자- 하느님의 아들,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의 제2위를 가르키는 칭호 ⑥ 임마누엘- 히브리어 '우리와 함께 계시는 하느님'  '하느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다'라는 의미

교회의 4대 교리란 ?

① 천주존재(天主存在)     하느님께서는 만물이 있기 전부터 존재하셨고,                 만물을 창조하신 완전하고 무한한 분이시다. ② 상선벌악(賞善罰惡)     착한 사람에게는 상을 주고, 악한 사람에게는 벌을 준다.     은총의 힘으로 하느님 앞에서 의로운 사람이 될 수 있다. 성서속의 상선벌악>   "나는 너희 각 사람에게, 자기 행적대로 갚아 주기 위하여              상을 가지고 가겠다" (묵시록22,12)  "그들은 영원히 벌받는 곳으로 쫓겨날 것이며,                 의인들은 영원한 생명의 나라로들어 갈 것이다"(마태복음) ③ 삼위일체(三位一體)    한 분이신 하느님 안에는 성부와 성자, 성령의 삼위가 계시다. - 게시진리    성부는 창조사업, 성자는..

하느님과 하나님

"하느님"은 "하늘"이란 말에 "님"이라는 존칭 접미사가 붙어 이루어진 말입니다.개신교 신자들은 "하늘"은  하이라는(한글로 복사해 보시면 네모 안의 글씨가              보입니다. ㄴ 아래아 ㄹ 입니다) 옛말에서 온 말이고, 하느님께서는 한 분이시기 때문에 "하나님"으로 써야 한다고 주장을 합니다.곧 "하나"라는 말에 "님"이라는 존칭 접미사를 붙여 쓰는 것입니다. 그러나 국문법에 따르면 "하나"라는 말은 수사로서 "님"이라는 존칭 접미사가 붙을 수 없습니다.한편 하늘에 님을 붙이면 하늘님이 될 것이지만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 말이 어울일 적에 ㄹ소리가 나지 아니하는 것은          아니 나는 대로 적는다(한글 맞춤법 제28항)라는 법칙에 따라         "하느님"이라..

구름

성경에서 구름은‘하느님의 현존’을 나타냅니다. 구약성경을 보면, 이집트를 탈출하는 과정에서 하느님께서는,                     낮에는 구름 기둥 속에서 길을 인도하셨으며(탈출13,2),                     모세가 하느님을 만나기 위해 천막으로 들어가면                     구름기둥이 내려와 천막 어귀에 머물렀다고(탈출 33,9)                     기록되어 있습니다.  신약성경에서는 예수님의 모습이 거룩하게 바뀌었을 때(마태 17, 5)와         예수님께서 승천하실 때(사도 1,9)         그리고 세상 마칠 때에도         예수님께서 구름을 타고 재림하시리라고 믿었습니다(묵시 13,26). 성경은 이처럼 자연의 현상인 구름에..

40(마흔)

‘마흔’은 성경의 세계에서 한 세대를 나타내는 수입니다. 이집트를 탈출한 세대의 사람들이 시나이에서 방랑하던 40년은                 그들이 모두 죽을 때까지 시나이 반도에 머문 기간을 의미합니다. 그들은 40년동안 광야에서 시련과 고난을 통해 교육을 받았습니다. 이로부터‘40’이라는 수는‘고행기간, 시련기간’을 뜻하게 되었습니다.  창세기에는‘땅에 사십 일 동안 홍수가 계속되었다’하였고(창세7,17),                 ‘모세는 시나이산에서 밤낮으로 사십 일 동안                  지냈다고’하였습니다(탈출24,18). 또한 요나는“이제 사십 일이 지나면 니네베는 무너진다!”(요나 3,4)고         외치며 단식을 호소했으며, 예수님께서도 공생활 전 광야에서 사십..

성경에서 빵은 인간의 물질적인 요구 자체를 의미합니다.“사람이 빵만으로 살지 않고, 주님의 입에서 나오는             모든 말씀으로 산다.”(신명 8,3)는 말씀은              물질도 중요하지만 영적인 삶이 더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자비의 하느님께서는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만나’를 내리셨으며,             예수님께서는 따라오는 군중을 측은히 여기시어             다섯 개의 빵을 축복하여 모두 배부르도록 나누어 먹이셨습니다(마태 16,9).  요한은 예수님께서 주신 이 빵을 ‘새로운 만나’라고 불렀고             초대교회에서는 미사를 ‘빵나눔’이라고 하였습니다. 수난하신 예수님의 몸을 모두가 나누어 먹는다는 뜻입니다. 이렇게 성체는 그리스도 신자의 주식..

포도

평화와 축복의 상징으로 표현되는 포도는 성경에도 포도나무, 포도원, 포도주,              건포도, 포도즙 등 다양한 표현으로 등장하는 귀중한 식물이다. 특히 이스라엘 사람들은 포도를 평화와 축복 그리고 풍요와 다산의 상징으로 사용했으며,         구약성경에서는 젖과 꿀이 흐르는 축복의 땅(가나안)을 포도에 비유하기도 했다. 또한 포도는 하느님 자비의 상징이기도 하다. 가지에 남은 포도와 땅에 떨어진 포도는 가난한 사람들과 이방인의 몫이되도록 했다(레위 19,10). 신약 성경에서 하느님은‘농부’라 하고, 예수님은‘참 포도나무’라고 표현한다(요한 15,1-3). 그러나 포도의 가장 큰 상징은 우리 죄를 속죄하시려고             예수님이 흘리신 피가 포도주로 표현됐다는 것이다. 예수..

무화과 나무

무화과나무는 성경시대에는 집에서 가장 많이 키우는 나무로서             팔레스타인 지역에 널리 분포돼 있었다. 사람이 무화과나무 아래 산다는 것은 안정, 기쁨, 평화             그리고 번영의 생활을한다는것을의미했다.이스라엘사람들은 그늘이 많은무화과나무 아래서 조용히 앉아                명상하고 기도하곤 했다. 성경에서는 알몸이 된 아담과 하와가 무화과나무 잎을 엮어서                    치부를 가리는 것으로 등장한다(창세 3, 6-7). 무화과나무는 열매를 맺고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 주는 특성으로,            포도나무와 같이 이스라엘 백성과 언약 관계에 있는            하느님을 상징하기도 한다. 복음 말씀에서 예수님께서는 무화과나무를 이용해..

뱀은 성경 안에서 다양한 상징으로 표현된다. 창세기에 “뱀은 주 하느님께서 만드신 모든 들짐승 가운데에서                  가장 간교하였다.”(창세 3,1)라고 하여 간교함을 나타낸다. 또한 민수기에서는“너는 불 뱀을 만들어 기둥 위에 달아 놓아라. 물린자는 누구든지 그것을 보면 살게 될 것이다.”(민수21,8)라고 되어있어                ‘죽음’의 상징이었던 뱀이 ‘구원’의 수단이 되었다. 그리스 문화권에서는 허물을 벗기 때문에‘부활과치유’의상징이던            청동뱀은 ‘십자가에달리신예수님’의상징이되었으며,             이는 예수님께서 니코데모에게 말씀하신 바에서도 드러난다(요한3,14-15). 또 열두 제자를 파견하시며 “뱀처럼 슬기롭고 비둘기처럼 순박하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