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 13

수도원의 구분

修道院은 수도자가 공동생활을 하면서 수행하는 곳이다. 기독교에서는 생활하는 수도자의 성별에 따라 修道院과 修女院등으로                        나누어 부르기도 한다. - 서원예식 방법에 따라 장엄서원, 단순서원 수도회         장엄서원 수도회 : 대부분 중세때 등장된 수도회         단순서원 수도회 : 비교적 간단한 서원 예식 - 설립목적에 따라 명상 수도회, 활동 수도회         명상 수도회 : 기도와 명상을 주목적으로 삼는 수도회로                               회원들은 보다 엄격하게 봉쇄규율을 지켜야 함.         활동 수도회 : 명상생활과 활동생활을 함께 추구하면서 사도직 활동에 주력 - 수도회 회칙으로는바실리오 회칙>  주로 덕과 악덕..

수도생활의 역사

- 수도자는 2세기경부터 특별한 존경을 받음.                   남자 → 금욕자, 여자→동정녀- 수도생활은 3세기 중엽 이집트의 사막에서 시작됨.- 성 안토니오는 사막에서의 은수생활 창시자- 단식, 철야기도, 육체적 노동을 통해 하느님께 대한 사랑을 표현 베네딕토의 규칙서>          가장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음.           800년이후부터 서양 수도회의 생활을 지배함. - 1534년 로욜라의 성 이냐시오가 혁명적 수도회 창설 - 예수회               예수회 : 교회를 위한 봉사단 - 근세의 수도회 → 예수회의 영향을 받아 교회의 봉사를 목적으로 함.- 엄격하게 봉쇄를 지키는 '가르멜회' → 근세에 번성한 수도회임.- 수도자는 현세적인 가치와 세속적인..

수도자가 되는 길

봉헌생활은 그리스도를 더욱 충실히 따르기 위해 교회와 공동체 안에서 정결·청빈·순명의 복음적 삶을 서약하고 자신을 하느님께 봉헌하는 것이다.세속을 떠나 오로지 주님만을 섬기며 자신을 봉헌하는 삶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요건과 과정이 필요하다.수도자는 단순히 되고 싶다는 열망만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의 부르심을 받는 성소(聖召) 식별의 과정이 우선 필요하다.본당 신부나 수도자와의 대화, 그리고 끊임없는 기도를 통해        스스로를 하느님께 완전히 바칠 수 있는 마음의 준비와        자세가 되어 있는지를 확인한 후 수도원의 문을 두드려야 한다.특히 수도회는 각기 다른 영성과 사도직 활동, 생활형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여러 수도회에 문의해서 자신에게..

수도원이란?

1.1. 수도원 정의修道院이란?  : 修道者가 공동생활을 하면서 수행하는 곳으로서,                그리스도교의 수도사(monk)나 수도녀(sister)가 일정한 계율에 의해서,                정결, 청빈, 순명, 노동, 성독의 서약을 맺고, 복음에 따라 공동 생활을 하는 곳                  또는 수도자의 단체이다.  수도자의 성별에 따라 修士院과 修女院으로 구분된다.​1.2. 수도서원(5大 修道誓願)-- 정결[貞潔, castitas, chastity]-- 청빈[淸貧, paupertas, poverty]-- 순명[順命, oboedientia, obedience]ㅡ노동[勞動, labor manum, labor]ㅡ성독[聖讀, lectio divina, reading]​1..

십계명이란?

십계명은 구약성경에나 전해지는 머나먼 과거 일이 아닙니다. 십계명은 오늘을 사는 우리 그리스도인에게도 여전히 강하게 작용하는 하느님 계명입니다. 교회는 십계명을 '주요 기도문'안에 포함시켜 신자들이 마땅히 지켜야 할 윤리적 법도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십계명이란 십계명은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고 이집트를 탈출한 모세가               시나이 산에 올라가 하느님에게서 돌판에 받은 열 가지 계명을 말합니다.탈출기 20장 2-17절과 신명기 5장 6-21절 두 곳에서 전하는 이 열 가지 계명은           '~하라'는 명령과 '~하지 마라'는 금령으로 이뤄져 있지요.가톨릭교회는 이 성경 본문들에 나오는 십계명을 정리하면서 순번을 매겨         '주요 기도문'에 포함시키고 있습니다.주요 기도..

수호성인

수호성인 : 중재자어떤 직업, 장소, 국가, 개인은 특정한 성인을 보호자로 삼아 존경하며,          그 성인을 통하여 하느님께 청원하며, 하느님의 보호를 받는다. 이 성인을 수호 성인, 또는 주보성인, 보호 성인이라 한다. 수호성인을 세우는 관습은 그리스도교 초기 순교성인의 무덤 위에 성당을 지으면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실제로 세계 가톨릭의 심장이라 할 바티칸 성베드로대성당은 베드로 성인,          아시시의 성프란치스코대성당은 프란치스코 성인의 무덤 위에 세워졌다.전 세계 순례객들을 불러 모으는 스페인 북서부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대성당 역시     야고보 성인의 무덤 위에 지어졌다. 야고보 성인은 스페인의 수호성인이다.특정..

연옥

연옥(煉獄)이란? 하늘의 기쁨에 들어가기 위한 거룩함을 얻기 위해 거치는 정화.신자들은 위령 성월을 맞아 연령을 위해 기도한다.연령이란 ‘연옥에 있는 영혼’을 일컫는 말이다.연옥의 연(煉)은 ‘단련하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하느님의 은총 안에서 죽은 사람들은 영원한 구원을 보장받는다.그러나 완전히 깨끗해지지 않은 사람들은 천국에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깨끗해지기 위해 정화과정을 거쳐야 한다.1439년 공포된 피렌체공의회 「그리스인들을 위한 교령」은             “죽은 이들이 (죽음에) 앞서 보속을 하지 않았지만,              하느님의 사랑 안에서 참으로 회개하면서 세상을 떠난 이들의 영혼은              죽은 다음에 연옥의 벌로 정화된다”며       ..

천국과 지옥

1. 천국이란 ? - 성서에서의 천국표현         물질적인 천체, 하느님의 거처, 천국에서 사는 자의 상태- 그리스도께서 오르신 천국         천주의 어좌, 하느님의 오른편- 완전한 초자연적인 행복이 있는 장소와 행복한 상태- 지복 직관 : 현세에서는 보이지 않는 하느님을 믿고 있지만                                       천국에 가서는 하느님을 직접 만나 볼 수 있다.                      '우리가 지금은 거울에 비추어 보듯이 희미하게 보이지만,                                   그때에 가서는 얼굴을 맞대고 볼 것이다' (고린토전서 13,12)- 지복은 은총의 정도에 따라 다르며, 은총은 현세의 공적에 따라 좌우 됨.- ..

천사란 ?

- 구약성서 : 하느님의 명령을 받아 사람을 보호하거나 처벌하는 하느님의 신하- 신약성서 : 하느님의 메신저로 사람에게 파견                     바빌론 유배시대 이후 천사와 악마의 구별이 생김 - 수호천사 : 하느님이 모든 사람에게 정해줌.                     그 사람을 지켜주고 기도를 전달해 줌.- 하느님께서는 현실세계 뿐 아니라 영적 세계도 창조하셨다.- 천사의 존재를 신앙교리로 선언              제4차 라떼란 공의회, 제1차 바티칸공의회 - 성미카엘, 가브리엘, 라파엘 대천사 축일 : 9월29일수호천사 기념일 : 10월2일미카엘 : '누가 하느님과 같으냐' 라는 히브리어의 뜻(구약2번, 신약2번 등장)가브리엘 : '하느님의 영웅'이라는 히브리어의 뜻(성서 ..

가톨릭 신자의 6대 의무

1. 모든 주일과 의무축일 미사 참여주일과 의무축일 미사에 빠지면 안 된다. 한국에서는 의무축일을 4번으로 정해놓았는데         1월 1일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 예수 부활 대축일(대부분 4월 1~2째 일요일),          8월 15일 성모 승천 대축일, 12월 25일 예수 성탄 대축일 4번이다. 2. 금육재와 금식재 준수금육과 금식을 지켜야 한다. 금육은 매주 금요일이고, 금식은 재의 수요일과 성 금요일에 의무적으로 해야 하는데,             금육은 날개 달린 동물 또는 4발 달린 동물의 고기나 국물을 먹지 않는 것이고,            금식은 하루 1끼는 먹고, 1끼는 간단히 요기만 하고, 1끼는 완전히 굶는 것이다. 다만 금육은 만 14세 이상부터, 금식은 만 21세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