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359

묵상의 여러 가지 방법(성경 묵상법)

말씀 묵상에는 특별한 형식이 필요한 건 아니지만,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읽기 : 말씀을 천천히, 반복해서 읽는다. 묵상하기 : 마음에 와닿는 구절이나 단어에 집중하여 의미를 깊이 생각한다. 기도하기 : 말씀을 통해 깨달은 것을 하느님께 아뢰며 기도한다. 1. 읽기: 말씀을 천천히 읽는다성경을 묵상하는 첫 번째 단계는 말씀을 천천히 읽는 것. 단순히 읽는 것을 넘어, 한 단어나 한 구절에 마음을 집중하여 읽어야 한다.   2. 되새기기: 반복해서 읽고 읊조린다성경의 구절을 반복해서 읽거나 작은 목소리로 읊조리며 되새기는 것은 묵상의 핵심이다. 반복을 통해 말씀이 마음에 스며들고 더 깊은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묵상'이란 히브리어 단어가 소리내어 읽다는 뜻이고 반복하다는..

미사보 쓰는 이유

미사보란 천주교 성당에서 미사 드릴 때(기도 할 때)                여성들이 머리에 쓰는 레이스를 뜻합니다. 흰색 미사보가 대표적이지만 검은색도 있습니다.  1. 미사보 쓰는 이유 미사보를 쓰는 이유는 높은 존재 앞에서 자신을 낮춘다는 의미로                머리를 가리는 것입니다. 구약시대 때 부터 이어진 오랜 전통이라 하겠습니다.좀 더 정확하게 보자면 구약성경에서 리브가가 남편 이삭을 처음 만났을 때         얼굴을 베일로 가렸다는 이야기가 있고,          하느님을 만나러 다녀 온 모세의 얼굴이 너무 환하게 빛나           베일로 가리고 다녔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한국적으로 말하자면 웃어른을 만날 때 머리도 단정히 빗고                    옷매..

향주삼덕

향주삼덕(向主三德) 또는 향주덕(向主德)이란               '주님을 향한 또는 주님께 대한 세 가지 덕'이라는 뜻을 지닌 한자어로,                 믿음과 희망과 사랑의 덕을 말합니다.이 세 가지를 향주덕이라고 하는 이유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이 세 가지가 하느님과 직접 관련되기 때문입니다.가톨릭교회교리서는 "향주덕의 근원과 동기와 대상이 한 분이시고            세 위이신 하느님이시다"(1812항)라고 가르칩니다. ◇ 믿음 : 믿음은 삼위일체이신 하느님께 대한 믿음을 말합니다.믿음이라는 향주덕을 통해 우리는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말씀하시고 계시하신 것,또 교회가 우리에게 믿도록 제시하는 모든 것을 믿는 것입니다.하느님과 관계에서 우리에게 무엇..

모령성체

冒領聖體란 죄인이 죄의 사함을 받지 않고                     성체를 받아먹는 독성 행위(瀆聖行爲)                      즉 성체성사를 모령하여 받음으로써 성립되는 중죄(重罪). 영성체는 그리스도 의 거룩한 몸과 피를 나누어 먹고 마심으로써                  일치와 사랑을 드러내고 구현하는 것이므로                 영성체 를 하기 위해서는 은총 의 지위가 필요하다. 은총 의 지위에 있지 않은 신자가 스스로 중죄 중에 있음을 의식하면서              영성체를 하는 경우 모령성체가 된다.

스카풀라(scapula)

성물방에 가면 쉽게 볼 수 있는데요. 보통 성모님 그림이나 글귀가 적힌               두 개의 작은 천이 긴 끈으로 연결된 형태의 물건입니다.스카풀라는 생김새 때문에 ‘목걸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런데 사실 스카풀라는 목걸이가 아니라 옷입니다.수녀님들이나 수사님들이 꼭 앞치마 비슷하게 몸 앞뒤로 길게 걸쳐 입고 있는                        옷을 보신 적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이 옷이 바로 스카풀라입니다. 스카풀라(scapula)는 라틴어로 ‘어깨’라는 뜻입니다. 어깨너비의 천을 몸 앞뒤로 길게 늘어뜨려 입는 소매 없는 겉옷이기에                     이런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스카풀라는 초기에는 수도자들이 일할 때 수도복 위에 걸쳐 입는 옷이었는데요.  ..

예수님을 부르는 칭호들

신약 성경은 예수님을 부르는데 다양한 칭호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 까닭은 그 하나하나의 칭호가 예수님 안에 계시된 신비를 표현하고 있기는 하지만,                  단 하나의 칭호로 그분을 완전하게 표현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예수 : 예수라는 이름은 하느님께서 구원하신다는 뜻입니다.  예수님께서는 당신 백성을 죄에서 구원하시는 분이시기 때문입니다. 그리스도 : 그리스도는 히브리 말 메시아를 그리스 말로 번역한 것인데                     기름부음받은이를 뜻합니다. 구약 시대에 기름을 바르는 행위는 하느님께서 지도자로 뽑으신                     임금, 사제, 예언자가 취임하는 의식이었습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는 예언자이시고 대사제이시며 임금이신 예수님께서  ..

수도회와 구분

1. 수도회 *수도회는 : 청빈, 정결, 순명의 복음적 권고를 서약하고                  일정한 규칙(회칙과 회헌)에 따라 공동생활을 하며                  하느님 나라의 영광과 인류 구원을 위해                  고유한 사도직 활동을 실천하도록 교회 관할권자에 의해                  교회법적으로 설립된 會를 말한다.(교회법전 제537조 참조) ①수도회들의 공통된 특징 중 하나는 : 복음적 권고를 공적으로 서원하는 것이다. ⇒복음적 권고란 :㉠하느님 나라에 부를 쌓기 위해 자발적으로 실천하는 가난,㉡하느님 나라를 위해 스스로 고자가 되고                또 장가가는 일도 없고 시집가는 일도 없는                하느님 나라의 삶을 앞..

신부님의 생활과 은퇴시기

- 본당신부는 소속본당에서,    수도회신부는 소속수도회에서 생활비 제공   군종, 교육, 전문, 특수사목신부는 소속기관에서 제공, 필요시 교구에서 제공    " 성전에서 일하는 사람은 성전에서 나오는 것을 먹고살며,              제단을 맡아보는 사람은 제단 재물을 나누어 가진다는 것을 모르십니까?               이와 같이 복음을 전하는 사람들도 그 일로 먹고 살 수 있도록               주님께서 제정해 주셨습니다."(고린토 전서 9장, 13장) - 은퇴는 보통 75세(교구에 따라 조금씩 다름),              소속교구에서 생활책임              은퇴시기는 나이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담당주교님과 개인이 결정

유아세례의 의미와 중요성

유아세례는 태어난 아기가 천주교 신자가 됨을 의미하며,         이는 가정과 공동체가 함께 양육하고 신앙의 길로 인도하려는 의지를 상징합니다.  유아세례 시기천주교  유아세례 시기는 기본적으로 아기가 태어난 후 몇 달 이내라는 것이 일반적인 규칙입니다. 대체로 3개월 이내에 세례를 받는 것이 권장되며,            이는 아이가 태어날 때부터 신앙 공동체의 보호를 받기 위함입니다. 유아세례는 부모의 신앙 고백을 통해 이뤄지므로,                    부모가 함께 신앙을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하지만 특별한 경우에는 좀 더 늦은 시기에 세례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 아직 신앙을 깊게 고려 중이거나,                   가정의 상..

사제, 성직자, 신부의 호칭

사제는 주교 (교황, 추기경, 대주교 포함)와 신부를 가리킨다. 성직자라고 하면 여기에 부제가 더 포함된다. 부제는 성직자이지만 사제는 아니다.  신부는 사제서품을 받은 성직자.가톨릭교회의 성직자는 副祭·司祭·主敎의 3계층이 있는데,                        사제를 신부라고 부른다. ‘영신적 아버지’라는 뜻이며, 서양에서는 ‘아버지’라 부른다.신부는 미사를 비롯하여 聖務를 집행하므로             하느님과 인간의 중개자로 존경을 받는다. 인간을 대신해서 하느님께 제사를 드리고             하느님의 은총을 인간에게 베풀어 주는 聖事를 집전한다.또한, 하느님의 진리를 인간들에게 가르치며          맡겨진 성당의 신자들과 재산을 관리한다. 가톨릭교회에서는 신부가 되기 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