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자료/신약공부 자료 479

예수님을 부르는 칭호들

신약 성경은 예수님을 부르는데 다양한 칭호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 까닭은 그 하나하나의 칭호가 예수님 안에 계시된 신비를 표현하고 있기는 하지만,                  단 하나의 칭호로 그분을 완전하게 표현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예수 : 예수라는 이름은 하느님께서 구원하신다는 뜻입니다.  예수님께서는 당신 백성을 죄에서 구원하시는 분이시기 때문입니다. 그리스도 : 그리스도는 히브리 말 메시아를 그리스 말로 번역한 것인데                     기름부음받은이를 뜻합니다. 구약 시대에 기름을 바르는 행위는 하느님께서 지도자로 뽑으신                     임금, 사제, 예언자가 취임하는 의식이었습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는 예언자이시고 대사제이시며 임금이신 예수님께서  ..

가상칠언

가상칠언(架上七言)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달리셨을 때에 일곱 가지 말씀을 하셨는데                    이것을 架上七言이라고 한다.  ①용서하소서! (루가 23,34) : 󰡒아버지, 저 사람들을 용서하여  주십시오!                          그들은 자기가 하는 일을  모르고 있습니다.󰡓 ②낙원에 들리라! (루가 23,43) : 󰡒오늘 네가 정녕 나와 함께                                                       낙원에 들어가게 될 것이다.󰡓 ③어머니! (요한 19,26) : 먼저 어머니께 󰡒어머니, 이 사람이                                                어머니의 아들입니다󰡓하시고,   ..

골고타

예수님의 무덤이 있던 자리에는 현재 기념성당이 세워져 있다.성당을 처음 세운 분은 성녀 헬레나다.콘스탄티누스 황제의 어머니였기에 가능한 일이었다.이후 고고학적 발굴로 예수님의 무덤 자리였음이 계속 확인되었다.복음의 기록을 종합하면 예수님께서는 예루살렘 인근 골고타에서 처형되셨다.골고타는 '해골' 또는 ‘해골 터’란 의미다.오리지널 발음은 골골타로 아람어였다. 예수님 시대의 유다인은 아람어를 사용했다.기원전 6세기 페르시아가 근동지역을 통합한 뒤 공용어로 채택했기 때문이다.유다인은 바빌론 포로 시대부터 아람어를 사용했고                 히브리어는 종교적인 용어로만 남아 있었다.골골타가 희랍어로 번역되면서 골고타가 되었다.라틴어는 갈바리아Calbaria로 번역하였다. 지금의 골고타는 예루살렘 중..

골고타

예수님의 무덤이 있던 자리에는 현재 기념성당이 세워져 있다.성당을 처음 세운 분은 성녀 헬레나다.콘스탄티누스 황제의 어머니였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후 고고학적 발굴로 예수님의 무덤 자리였음이 계속 확인되었다.복음의 기록을 종합하면 예수님께서는 예루살렘 인근 골고타에서 처형되셨다.골고타는 '해골' 또는 ‘해골 터’란 의미다.오리지널 발음은 골골타로 아람어였다. 예수님 시대의 유다인은 아람어를 사용했다.기원전 6세기 페르시아가 근동지역을 통합한 뒤 공용어로 채택했기 때문이다.유다인은 바빌론 포로 시대부터 아람어를 사용했고                히브리어는 종교적인 용어로만 남아 있었다.골골타가 희랍어로 번역되면서 골고타가 되었다.라틴어는 갈바리아Calbaria로 번역하였다. 지금의 골고타는 예루살렘 중..

율법학자들을 예수님은 왜 질책했을까?

율법은 '지침, 규정, 법령, 명령, 계명'의 의미를 지닌다. 율법을 가리키는 히브리어 '토라'는 본래 가르침이란 뜻이다. 율법이란 십계명을 중심으로 한, 하느님 백성의 생활과 행위에 관한                하느님 명령이다. 즉 이스라엘 백성 모든 이가 하느님 뜻을 따르게 하고자       하느님께서 내리신 도덕적ㆍ종교적ㆍ법률적 명령을 말한다. 율법학자란 대개 모세 율법을 가르치는 사람을 일컫는다. 그런데 신약성경에는 예수님이 "불행하여라, 너희 위선자 율법학자들과              바리사이들아!"하며 율법학자들을 공격하는 장면이 심심찮게 나온다율법학자들은 법조문에 너무 얽매여 예수님과 항상 적대관계를 이뤄왔다(마태 15,1-20). 율법학자는 어떤 사람들이었을까. 율법학자는 원래 율법을 ..

이웃은 누구인가? (성경)

성경에서는 하느님을 사랑해야 할 뿐 아니라         하느님의 사랑을 경험한 사람은 사랑의 응답으로써          자신의 이웃을 자기 몸과 같이 사랑하라고 가르친다."네 이웃을 너 자신처럼 사랑해야 한다"(마태 19,19). 여기서 언급하는 이웃이란 어떤 범위까지의 사람을 의미하는가? 구약성경에서 이스라엘 사람들은 오직 자신의 동족만 이웃이라고 생각했다. "너희는 동포에게 앙갚음하거나 앙심을 품어서는 안 된다. 네 이웃을 너 자신처럼 사랑해야 한다. 나는 주님이다"(레위 19,18).이처럼 구약에서 '이웃'은 철저하게 같은 이스라엘 민족을 가르치는 단어였다. 당연히 이교도나 이방인은 이웃의 범주에 들지 않았다. 그러므로 구약성경에서 이웃을 사랑하라는 계명은                같은 이스라..

포도주의 의미(성경)

이스라엘 백성들은 과월절 축제의 저녁 식사 때 엄격한 순서에 따라                누룩 없는 빵과 쓴 나물을 먹고 포도주를 마셨다. 이들은 포도주를 잔에 가득 채워 기도를 드린 후,            네 번에 걸쳐 온 가족이 돌아가며 마셨다. 포도주는 많은 상징적 의미가 있다. ⓵성찬 전례에서 포도주는 미사 중에 거행되는 성체성사를 통해            그리스도의 피를 상징한다. 포도주는 새로운 계약을 맺기 위하여 예수님께서 흘리신                 피에 대한 성사적 표지가 된다. "또 잔을 들어 감사를 드리신 다음 제자들에게 주시며 말씀하셨다. '모두 이 잔을 마셔라. 이는 죄를 용서해 주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내 계약의 피다'"(마태 26,27-28)..

부활하신 예수님을 제자들이 알아보지 못한 이유

성경에서 예수님 부활 이야기를 읽다 보면 한 가지 궁금증이 생긴다. 예수님을 따랐던 제자들과 지인들이 정작 예수님께서 부활해                 그들 앞에 나타나셨는데도 잘 알아보지 못했다는 것이다. "예수님께서 마리아에게 '여인아, 왜 우느냐? 누구를 찾느냐?' 하고 물으셨다. 마리아는 그분을 정원지기로 생각하고, '선생님, 선생님께서                 그분을 옮겨 가셨으면 어디에 모셨는지 저에게 말씀해 주십시오.                 제가 모셔 가겠습니다' 하고 말하였다"(요한 20,15). 예수님 부활에 관해 오해하지 말아야 할 부분이 있다. 예수님의 부활은 죽은 시신이 다시 그 모습 그대로 소생한 것이 아니다.예수님 부활은 라자로의 소생과는 전혀 다르다. 라자로의 경우는..

십자가는 유다인에게 왜 걸림돌이 되는 것일까?

바오로 사도는 본래 철저한 바리사이였고 열심한 유다교인이었다.개종 이전의 이름은 사울이다. 그는 그리스도교 신자들을 앞장서서 박해했다.당시 그리스도인들은 사도들 말고는 모두 유다와 사마리아 지방으로 흩어졌다.사울은 교회를 없애 버리려고 집집마다 들어가 남자든 여자든 끌어다가             감옥에 넘겼다(사도 8,1-3 참조). 사울은 그리스도교 신자들에게 살기(殺氣)를 갖고 있었다.그는 대사제에게 가서 다마스쿠스에 있는 회당들에 보내는 서한을 청했다.그는 그리스도교를 믿는 사람을 찾아내기만 하면 남자든 여자든 결박해         예루살렘으로 끌고 오겠다고 약속했다(사도 9,1-2). 그는 왜 이처럼 그리스도교 신자들을 혹독하게 박해했을까.바오로 사도가 이처럼 그리스도교 신자들을 박해한 것은   ..

열 처녀의 비유

열 처녀의 비유 (마태 25,1-13). 하늘나라에 들어가려면 늘 깨어 있으라는 예수님 비유 말씀이다. 슬기로운 다섯 처녀는 주님 말씀을 잘 듣고 지키는 자들이며,                 어리석은 다섯은 그렇지 못한 자들이다. 한밤중에, 예상치 못한 뜻밖의 시간에 주님이 오시더라도                  늘 주님 말씀을 듣고 행한 자들은                  종말의 축복을 누리게 된다는 것이 이 비유 말씀의 숨은 뜻이다. 열 처녀의 비유는 예수님 시대 결혼 풍습을 알아야만 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당시 이스라엘에서는 약혼을 하는 것만으로도 법적 혼인이 성립됐다. 하지만 약혼만 한 경우에는 합법적 부부지만 동침은 하지 않았다. 그래서 신부는 약혼을 한 후에도 일 년 정도를 친정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