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 18

공관 복음서

1. 共觀 福音書란? : 세 복음서, 즉 마태오, 마르코, 루카복음서를 일컫는 말, 이 세 복음서는 구조와 내용이 비슷할 뿐 아니라, 문체와 낱말이 일치하는 경우가 많아 공관 복음서라 한다. 2. 세 복음서가 서로 비슷하거나 일치하는 까닭을 두고 지난 200여 년 동안 여러 학설이 나왔는데, 대표적인 학설은, ①1789-1790년 예나 대학교 신약학 교수였던 그리스바흐는 마태오와 루카 복음서가 먼저 쓰여졌고, 마르코 복음서는 축소판으로 나중에 쓰여졌다는 설을 내새웠다. 하지만 설득력이 별로 없다. ②1838년 빌케와 바이세가 처음으로 제창하고, 1863년에 홀츠만이 지지한 두 사료설(二 出典設)..

이스라엘의 멸망

이스라엘의 멸망 1. 北이스라엘의 멸망과 처참한 운명의 유다. 이스라엘이 南北으로 나뉘어 혼란 속에 빠져 있을 때, 티그리스강 상류의 동쪽 연안지대에서는 초강대국 앗시리아 제국이 건설되고 있었다. 앗시리아 제국의 팔레스타인 침공은 기원전 1,100년에서 633년에 걸쳐 이루어졌다. 이 시기는 이스라엘이 남북으로 분열하여, 멸망의 길로 치닫고 있는 시기이기도 하다. 앗시리아 제국은 지중해 연안의 도시들에 대하여 여러 번에 걸쳐 공격을 하였다. 이 와중에 北이스라엘 왕국의 수도 사마리아는 앗시리아의 3년에 걸친 공격 끝에 침략자의 손에 넘어가게 된다(기원전 722년). 이렇게 북..

렉시오 다비나

lectio divina는 : 명사 ‘lectio(독서)’와 형용사 ‘divina(神的)’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서 ‘lectio’는 하느님의 말씀, 즉 성서를 뜻한다. 그래서 ‘성경 독서’, ‘거룩한 독서’, 또는 ‘聖讀’으로 번역할 수 있다. 렉시오 다비나는 전통적으로 하느님의 말씀인 성서를 깊이 묵상하도록 도와줌으로써 관상에 까지 이르도록 이끌어 주는 전통적인 기도이다. 기도방법 : ①먼저 말씀을 찬찬히 정독하고(lectio : 독서), ②그 말씀의 의미 등을 곰곰이 되새겨보며(meditatio : 묵상) ③기도하고(oratio) ④마지막으로 하느님과 合一..

성경이 말하고자 하는 것

1. 성경의 뼈대는 : Is 역사(구약성경)와 예수님 이야기(신약성경). 그런데 이스라엘의 크고 작은 사건들이나 예수님의 생애와 인격과 가르침들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는 역사적 사실로만 처리된다면, 21세기를 맞은 극동의 한민족에게 성경의 내용들이 어떤 의미를 주겠는가?2. 실제로 Is이라는 조그만 나라의 역사가 고대 근동사 안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거의 무시되어도 좋을 만큼 미미하다. ⇒이들은 : 이집트, 아시리아, 바빌로니아, 페르시아 같은 고대 근동의 강대국들 틈바구니에 끼어 늘 생존을 위협 당하던 약소민족에 지나지 않았..

그리스도교의 초기 역사

1. 그리스도교의 기원 *나자렛 예수님이 십자가형에 죽은 지 얼마 후 예루살렘에서는 새로운 신앙공동체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예수께서 사셨던 삶과 가르침을 따르기 위해 모인 그의 제자들은 복음을 선포하는데, 그 내용은 : ①구약성서에서 θ이 당신 백성에게 하신 약속이 성취되었고, ②다윗의 후예로 태어날 것으로 믿어온 메시아가 이미 도래하셨고, ③그분은 나자렛 예수로서 하느님의 뜻을 이루고자 십자가형에 처형되셨으나 θ은 예수를 죽은 자들 가운데서 부활, 승천시키셨다. ④이 예수는 그 제자들의 공동체 안에 지금도 함께 계시며 약속하신 성령을 내리시어 만물을 새롭게 ..

복음 선포와 청중

1. 공관복음서 안에서 나타나는 차이점과 메시지를 정확히 이해하려면 복음 선포의 청중이 여러 그룹이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복음 선포의 본질은 같았지만, 선포의 강조점과 방법, 표현 등은 대상에 따라 달랐다.구분 구 성 청 중 상 황 복음 선포 과정1구룹팔레스틴에 거주하는 유다인들(自國 거주 유다인들)①아람어를 사용하는 유다인들로서 ②θ에 대해서 잘 알고,③θ을 공경하고 경외하고, ④율법대로 살아가는 사람들. ※당시 공용어는 ‘희랍어’였지만 예수시대에도 일상어는 아람어였다. ․청중의 상황과 처지에 맞게 복음이 전파. ⇒․ ①과 ②그룹에게는 θ을 알고 있으므로 강조할 필요가 없고․ 메시지 자체를 ..

성경 읽기 방법

성경 읽기 방법 ; 성경 읽기 작심삼일 되지 않으려면단단히 먹은 마음이 사흘을 넘기지 못한다는 作心三日, '성경통독 도전'을 선언하고 창세기부터 펼친 사람치고 이 사자성어에 굴욕(?) 당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엄청난 두께에 지치고, 깨알 같은 글씨에 금세 지루함을 느껴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성경에 맛들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 이인옥(체칠리아, 수원가톨릭대 성경연구실) 실장에게 성경을 즐겁게 읽을 수 있는 비결을 물었다. 이 실장은 "성경을 '재밌는 이야기'라고 생각하고 부담 없이 읽으라"며 “성경읽기를 목표로 하지 말고, 말씀 안에 머무르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

이스라엘 역사 요약

이스라엘 역사 요약 (매우 중요)1. 이스라엘 민족의 기원(민족형성 준비기간) : 성조시대 ①Is이 역사의 무대에 등장 : 기원전 1200년경, 그 보다 앞서 오랜 세월에 걸친 민족형성 준비기간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 ②이스라엘 사람들의 원 조상 : 셈(Sem)족, 셈족은 : 半유목민, 기원전 2000년대에 초생달 지방에 정착. 이들 반유목민 중 잘 알려져 있던 집단은 : 아모리족, 아람족 등. ☞성서는 : 성조들을 소개. 성조들이 팔레스티나에 정착한 것은 기원전 1850년경으로 추정. ③그뒤 후손들은 : 다른 유목민들과 함께 물과 草地를 찾아 이집트로..

성서의 형성사

1. 성서는 : 하느님의 말씀. θ께서 인간들에게 들려주고자 하시는 말씀이 기록되어 있는 책 ⇒ 핵심 메시지는 구원. ․舊約(옛 계약) : θ과 Is백성간에 맺어진 계약. 46권 ․新約(새 계약) : 예수 안에서 완성된 새로운 계약. 27권2. 성서의 범위는 : 가톨릭과 유다교, 개신교간에 다소 차이. ․ 유다교에서는 : Je를 메시아로 인정× ⇒ 신약성서가 없다. ․ 구약성서는 대부분이 히브리어로 기록. 유다교, 개신교 = 히브리어 성서 39권 인정. 가톨릭 = 히브리어성서 39권 + 희랍어성서 7권(제 2경전)=46권 ․ 신약성서는 전체가 그리스어로 기록 : 개신교와 가톨릭이 같다.3. 구약성서 형성사 ①처음에는 : 口傳으로 전승(노래, 무용담, 격언, 교훈적 설화 등의 형태.)※구..

성수와 세례수 그리고 성유는 어떻게 만들죠?

1. 성수와 세례수. 성수는 그 사용 목적에 따라 그만큼 우리 일상에 밀접하게 놓여 있습니다. 반면에 세례수는 세례성사라는 특별한 사건을 위해서만 사용되기에 일상적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성수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예를 들어 보면, 성당에 들어갈 때 성수를 찍어 성호를 그으며 개인을 정화하고 축복합니다. 미사 초반에 성수를 축복하여 회중들에게 뿌림으로써 참회 예절('전능하신 하느님과 형제들에게 고백하오니...")을 대신하기도 합니다. 성당 밖에서도 사람을 축복하거나 사물을 축복할 때, 집이나 사무실을 축복할 때 성수를 뿌립니다.성수는 미사 때 또는 미사 외에 필요할 때마다 사제나 부제가 축복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성수를 많이 만들어 장기 보관할 때는 물의 부패를 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