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자료/카톨릭 교리

주일미사 의무 대신하는 ‘대송’ 방법은?

윤 베드로 2025. 2. 16. 07:55

모든 그리스도인에게는 주일미사 참례의 의무가 있다.

하지만 부득이하게 주일미사에 참례하기 어려운 경우 代誦으로 대신할 수 있다.

집에서 묵주기도를 바치거나 성경을 읽고, 선행에 나서는 것 등이 이에 해당한다.

한국 천주교 사목지침서744항에는 미사나 공소 예절에 참례할 수 없는

          부득이한 경우에는 묵주기도, 성경봉독, 선행 등으로

          그 의무를 대신할 수 있다고 명시돼 있다.

하지만 많은 신자들이 부득이한 경우가 무엇인지,

            대송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주교회의는 부득이한 경우직업상 또는 신체적, 환경적 이유로

            주일미사에 일시적이건 계속적이건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라고 정의했다.

 

대송을 할 경우 묵주기도5단을 바쳐야 하며

            ‘성경봉독은 해당 주일미사의 독서와 복음 봉독을 뜻한다.

             또 선행은 희생과 봉사활동 등을 의미한다.

 

주일미사에 참례하지 못할 경우 대송을 바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주일을 거룩하게 보내려는 마음일 것이다.

 

대송(代誦)이란 ?

교회법상으로 신자들에게 정해진 의무를 지키지 못한 사람이

                 그것을 대신해서 바치는 기도 (주일미사 참례 궐할 때 등)

                 --- 주님의 기도, 묵주기도, 선행, 성서봉독 등

주님의 기도를 33번 바치는 이유 : 33년간의 예수님의 생애를 묵상

TV중계, 인터넷, 라디오 등을 통한 미사는 완전한 미사참례가 될 수 없다.

'기타 자료 > 카톨릭 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편 지향 기도  (0) 2025.02.20
생미사, 연미사, 교중미사  (0) 2025.02.17
신영성체와 모령성체  (0) 2025.02.13
감실  (0) 2025.02.10
수도원의 구분  (0) 2025.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