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자료/구약공부 자료

신명기의 신학 사상

윤 베드로 2014. 8. 17. 14:32

신명기의 신학 사상

 

*신명기는 : 구약의 정경 순서에서 모세오경의 마지막 책이다.

         따라서 탈출기, 레위기, 민수기의 내용을 재해석하고

         역사서와 예언서의 신학적 기초를 제공한다.

 

*신명기 신학은 : 주님께서 모세를 통하여 이스라엘 백성과 맺으신

           시나이 계약에서 가장 잘 드러나는데,

  이 시나이 계약은 : 고대 근동에서 히타이트인들이

                주변의 약소국과 맺었던 주종조약의 틀 안에서 이루어졌다.

 

*主從 조약의 여섯 가지 요소는 :

①계약 주체(종주국 임금)의 자기 소개,

②과거 종주극 임금이 종속국 임금에게 은혜를 알려주는 역사적 서문,

③종속국이 지켜야 할 의무와 규정들,

④조약의 합의 사항을 충실히 지킬 것을 공적으로 선포함,

⑤조약의 증인들에 관한 언급,

⑥저주와 축복이다.

 

*이 틀에 따라 신명기가 제시하는 신학적 주제는 :

①이스라엘에게는 그들을 이집트 땅, 종살이하던 집에서 이끌어 낸

              주 하느님이외에는 어떤 신도 없다.

②그분은 이스라엘을 당신 백성으로 삼으시어

              그들보다 크고 강한 민족들을 내쫓으시고

               약속의 땅을 그들에게 주셨다.

이스라엘은 그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그분만을 사랑하고 섬기며

          그분이 내리시는 규정과 계명들을 지켜야 한다.

주님의 말씀은 몸과 마음에 깊이 새길 뿐 아니라

               자녀들에게도 거듭 들려주고

               집안 문설주와 대문에도 써 놓아

               식구들 모두에게 알려 주어야 한다.

⑤주님의 말씀을 잘 듣고 그분의 모든 계명을 명심하여 실천하면

           이스라엘은 축복을 받아 그 땅에서 번성할 것이고,

           실천하지 않으면 저주가 내려 그 땅에서 쫓겨나

                                        흩어져 버릴 것이다.

 

*이 신학적 주제들은 : 이어지는 신명기계 역사서(여호수아기, 판관기,

                   사무엘기, 열왕기)에서 재확인할 수 있다.

        권고와 호소와 경고를 담은 신명기의 교화적 문체는

                   역사서와 예언서는 물론

                   시서와 지혜서의 형성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구약성경에서 신명기만큼 말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하느님의 말씀과 이스라엘의 역사를

              하나로 연결시킨 책은 찾아보기 힘들다.

                                                         <성서 입문 下 / 정태현>

'성경 자료 > 구약공부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담과 이브   (0) 2014.08.22
아담 계약   (0) 2014.08.22
신명기계 역사와 역대기계 역사  (0) 2014.08.14
신명기계 역사서  (0) 2014.08.14
시편의 구성과 간추린 내용  (0) 2014.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