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371

성체성사란 ?

성체성사는 천주교에서 가장 중요한 성사로,                    예수님의 최후 만찬에서 제자들과 나눈 빵과 포도주를 기리는 성사이다.신자들은 몸과 피를 영하는 것으로 예수님과 교감을 나누고 영적인 힘을 얻게 된다. 성체성사란 그리스도로부터 축성권을 받은 사제들이        미사거행중에 그리스도의 말씀으로 빵과 포도주를 축성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성변화시켜 그것을 배령함으로써         그리스도와의 일치를 가져오게 하는 성사이다. 미사중에 사제가 축성하여 성변화를 일으키게 하는 것은                사제의 인간적인 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행위와 말씀으로 그렇게 되는 것이다. - 예수님의 최후의 만찬을 기념..

첫영성체란?

“첫영성체”는 어린이가 유아세례를 받고 처음으로 성체를 영하는 것이다. "첫 영성체는 영성체에 대한 열망과 지식을 갖출 수 있는 나이(일반적으로 8세이상)의                       어린이들이 적절한 교육을 받은 뒤 이루어 진다." (교회법 913조1항) 첫영성체 교리는?첫영성체를 위해 자녀들을 반드시 주일학교에 보내야 한다. 겨울방학 또는 3학년이 되는 새 학기에 첫영성체 교리가 준비된다. 교리 기간은 대략 한 달간이다. 아직 세례 받지 못한 초등학생은?초등학교 3, 4, 5, 6학년 어린이의 세례와 첫영성체는 부모의 동의가 필요하다. 부모는 조당 여부와 관계없이 어느 한 편이 세례자면 된다.

천주교의 4대 교리

가톨릭 교회의 4대 교리는 '천주존재, 상선벌악, 삼위일체, 강생구속'입니다. 이는 특별히 임종이 임박한 비상 세례(非常洗禮) 대상자나, 대세(代洗)를 받을 자에게,         알리고 믿게 해야 하는 천주교의 기본 교리 내용이라 할 수 있습니다.  ​1. 천주존재(天主存在)하느님께서는 만물이 있기 전부터 한 처음에 계셨던 분이시고,                       모든 만물을 창조하신 완전하고 무한한 분이자 존재 그 자체 이십니다. -"나는 있는 나다."(탈출 3,14)-"나는 아브라함이 태어나기 전부터 있었다."(요한 9,11) 2. 상선벌악(償善罰惡)하느님께서는 인간이 죽은 이후 선한 이를 행한 사람에게는 상을 끝없이 주시고,                        악한 일을 행한 사람에..

대세(비상세례)주는 방법

가능한 의식이 있는 임종자에게 주는 것이 좋다.​1. 세례받을 의향 확인​2. 4대 교리 알려줌 (의식이 없는 경우, 귀에 대고 조용히 들려줌)1)천주존재- 하느님은 살아 계시며, 온 세상을 창조하시고 다스리시는 분이시다.2)삼위일체- 하느님은 한 분이시지만, 성부, 성자, 성령 ‘삼위’로 계신다.3) 강생 구속- 인간이 죄를 지어 구원을 받을 수 없게 되었으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죽음으로써, 그 대가로 세례를 받는 자는                      누구든지 천국의 영광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4)상선벌악- 하느님은 절대 정의로운 분이시기 때문에 착한 사람에게는 상을 주시고,                     악한 사람에게는 벌을 주신다(묵시 22,12..

세례명 짓는 방법

1. 세례명이란? :洗禮名을 本名이라고도 한다.가톨릭 신자들이 세례를 받을 때 자신이 원하는 성인 성녀의 이름을           교회에서 명명하여 준 것이다.왜냐하면 이름(세례명)을 지어 준다는 것은              세례를 받음으로써 하느님과 함께 새로이 탄생되어             새롭게 영성생활을 시작함을 상징하기 때문이다.특히 세례명은 聖人 聖女의 聖德을 본받고       그 분의 도움과 전구를 청하며 그 분의 뜻을 기리기 위해서이다.그 성인성녀의 축일을 우리는 靈名(本名)祝日이라하여 축하하고 있다.성서에서도 아브람이 아브라함(창세 17,5)으로,      시몬이 베드로(마태 16,18)로, 사울이 바울로로 바뀌었었다. 2. 세례명 선정 기준우리가 세속에서 이름 지을 때도 어떤 사람은 이..

수세ㆍ혈세ㆍ화세

인간 구원의 보증이 일차적으로 세례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신학에서는 세례를 세가지로 구분한다. 첫째 수세(水洗) -『물과 성령으로 새로 나지 않으면 아무도 하느님 나라에 들어갈 수 없다』(요한 5ㆍ3). 이렇게 물로서 받은 세례의 중요성을 말하지만             성경 전반을 보면 꼭 수세만을 받아야 구원이 있다는 것은 아니다. 둘째 혈세(血洗) - 하느님을 위해 피를 흘리는 순교자들의 행동이다. 비록 그들이 물로서는 세례를 받지 않았다 하더라도 하느님을 위해          또는 구원의 진리를 위해(예컨대 정의를 위해 혹은 순결을 위해)          생명을 바치는 사람들이 받는 구원이다.『자기 목숨을 얻으려는 사람은 잃을 것이며 나를 위하여 자기 목숨을 잃는 사람은          얻을 것이다..

7성사와 준성사

1. 하느님의 은총을 받는 방법▪ 성사에는 7성사와 준성사가 있다.    예수께서 직접세우신 것은 7성사, 후에 교회가 세운 것은 준성사이다.▪ 구원을 위해서는 하느님의 은총을 받아야 한다.    은총은 하느님의 순수한 호의와 자비로 우리에게 주신다.▪ 은총을 받는 방법은 전례(성사와 미사, 성무일도 등)와 기도, 활동 2. 7성사 사람이 태어나서 어른이 될 때까지 부모의 보살핌처럼,              교회가 신자들의 신앙을 보살펴 주는 과정.세례성사, 견진성사, 성체성사, 고해성사, 병자성사, 혼인성사, 성품성사 3. 7성사의 공통점①하느님께서 은총을 주신다. 그러나 그 은총은 인간의 감각으로 느낄 수 없다.②교회가 인간의 감각으로 알아 볼 수 있는 형식을 통하여 전달해 준다.③예수 그리스도께서 ..

영성체란?

영성체란, 미사 성제 중의 성찬 예절 때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받아 모시는 것을 일컫는다. 영성체하는 이는 그리스도와 일치를 이루게 되고 신도들끼리도 일치를 이루게 된다. 영성체 자격과 조건(1) 천주교 교회에서 세례를 받은 자로서 은총 상태에 있어야 한다.(2) 어린이는 "그리스도의 신비를 제 능력대로 이해하고 주의 몸을 신앙과 신심으로                        영할 수 있을 만큼" 되어야 한다.(3) 대죄를 지었으면 고해성사를 받아 은총 지위를 회복해야 한다[영혼의 준비].                   대죄 중에 영성체하면 성체를 모독하는 중죄를 범하게 된다.(4) 영성체하기 한 시간 전부터 약과 물을 제외한 음식물을 먹지 않는                         공심제를 ..

사도신경이란 ?

사도신경은 기독교의 기본적인 신앙고백서로,         예수님의 12제자가 가르친 교리들을 성경의 내용을 바탕으로 요약한 것이다. 사도신경은 창조에서부터 종말에 이르는 성경의 역사를 핵심적인 진리로 담고 있으며,        사도들의 신앙을 이어받아 2세기 말경 로마에서 만들어졌다. 사도신경은 성경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으며,                     기독교의 복음의 본질을 간단하고 명확하게 나타낸다. - 예비신자들을 위한 신앙의 길잡이이고 지침서- 주일미사때마다 사도신경을 바침으로서 신앙을 고백하고 신앙을 새롭게 다짐.- 사도신경은 12가지 신앙을 고백- 사도신경은 삼위일체적인 구조에 따라 세부분으로 구성         ⓵하느님께 대한 신앙고백          ⓶예수그리스도께서는 참 하느..

보편 지향 기도

‘보편 지향 기도’는 개인이 필요한 것을 청하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를 위해 절실히 필요한 하느님의 은총을 청하는 기도이다. 그래서 교회는 이 기도의 일반적인 순서와 내용으로             1)교회에 필요한 일,  2)위정자와 온 세상의 구원,               3)온갖 어려움으로 고통받고 있는 이들              4)그리고 지역 공동체”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견진, 혼인, 장례와 같은 특별한 경우에는             그 목적에 합당한 지향을 포함시킬 수 있다(「미사 경본 총지침」, 70항 참조). ‘보편 지향 기도’는 자유로운 표현 방식으로 바칠 수 있다. 다만 기도 지향은 간단명료하고, 자유롭고, 짤막하게 공동체 전체의 청원을 표현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