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는 이유 : 단정함ㆍ겸손 드러내는 교회관습
신앙ㆍ전례의 본질과는 무관
최근 들어 미사보를 쓰지 않고 전례에 참례하는 여교우들이 많이 눈에 띕니다.
또 어떤 여교우들은 미사보를 머리에 쓰지 않고 스카프처럼
어깨에 두르고 있는 모습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여교우들이 미사보를 왜 쓰는지, 의무 규정은 아닌지 궁금합니다.
먼저 미사나 영성체때 미사보를 쓰지 않으면 안된다거나 미사보가 없으면
교회 전례와 성사에 참례할 수 없다는 것은 지나친 생각입니다.
미사보는 신앙인으로서의 소박한 생활과 정숙한 몸가짐의 한 표현으로
세례성사를 통해 깨끗해졌다는 순결함을 드러내는 교회의 오랜 관습으로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미사보는 일상적으로 쓰는 흰색과 장례미사에 사용하는 검은 색 등 두 종류가 있습니다.
여성이 머리를 가리는 관습은 구약시대부터 있었습니다.
구약의 여성들은 자신이 미혼임을 드러내기 위해 머리를 가렸습니다.
초기 교회에서 여교우들이 교회 공식 예절 때 머리를 가리는 관습은
사도 바오로가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를 공적으로 언급하면서부터 시작되었습니다(1고린 11,16).
바오로 사도는 여성의 머리는 남편을 상징하기에 교회 전례에 참여할 때
여성들은 머리를 가리라고 했던 것입니다.
따라서 미사보를 쓰는 것은 교회의 오랜 풍습을 의미할 뿐
절대적이고 본질적인 신앙의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미사보를 통해 드러나는 단정함과 정숙함, 겸손함을 지니도록 노력하는 것은
여교우들의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좋은 표양일 것입니다.
- "모든 남자의 머리는 그리스도이시고, 여자의 머리는 남자이며,
그리스도의 머리는 하느님이시라는 것을 알기 바랍니다.
누구든지 머리를 가리지 않고 기도하거나 예언하는 여자는
자기 머리를 부끄럽게하는 사람입니다." (1고린토11)
- 교회법, 전례규정 어디에도 미사보(수건)을 꼭 써야한다는 규정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