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서와 지혜서 요약
특성
수천 년 전 고대 근동이 히브리인들에 의해 쓰인 구약성경의
시서와 지혜서를 더 잘 이해하려면 성경의 문체와 그 특성을 알아야 한다.
詩書 : 시의 특징인 詩語와 韻律이 들어 있고
이스라엘 고유의 對句法이 주로 쓰인다.
지혜서 : 가르침이나 교훈을 강조하기 위해
강한 대비법이나 풍자적 언어를 사용한다.
⇒시서와 지혜서 : 욥기, 시편, 잠언, 코헬렛, 아가, 지혜서, 집회서.
2. 시서와 지혜서의 형성
1). 형성시기
①이스라엘 민족은 운율과 시적 기법을 사용해서
공동체의 체험을 후손에게 전달했다.
②그중에 시편은 시문학의 금자탑이다.
하느님 백성의 찬미와 탄원과 감사와 교훈을 담고 있는 시편은
다윗 임금시대부터 유배 이후까지 700여 년에 걸쳐 이루어진 것으로 본다.
➂이스라엘 지혜문학은 다윗-솔로몬 시대부터 태동하기 시작하여
바빌론 유배 이후에 문서로 꾸며졌다.
⇒다윗 : 주변 국가들에게 문호 개방 정책을 폄.
지혜문학이 형성되기 시작(기원전 1000년경).
솔로몬 : 父王 다윗의 개방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
이집트의 지혜문학이 들어 옴.
이스라엘 賢者들이 지혜학교를 세움.
바빌론 유배 이후 : 이스라엘 현자들이 토라를 연구하고 해석하면서
성경에 나타난 하느님의 지혜를 찾음.
헬레니즘 시기 : 희랍사상에 물들어 가는 위기의 때에 지혜문학이 확장되고,
마지막으로 지혜서가 편집(기원전 1세기 경).
2) 저자
①불가타를 비롯한 가톨릭 교회의 전통에서는 지혜문학의 저자를 솔로몬으로 보았다.
이는 마치 오경의 저자를 모세에게 돌리고,
시편 저자를 다윗에게 돌리는 것과 같다고 하겠다.
②모세가 율법을 전수받았다면, 다윗은 주님께 받은 은혜를 노래(시편)하였고,
솔로몬은 주님께 지혜를 받았기에 이렇게 표현한 것이다.
3. 지혜서의 특징
지혜문학이 가장 먼저 시작된 곳은 이집트로 추정된다.
그 후 지혜문학은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도 생겨나,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풍요롭게 꽃을 피웠다고 할 수 있다.
이스라엘의 지혜문학은 그 백성이 두 문명권을 넘나드는
역사적 사건을 겪는 가운데 자라났다.
이스라엘은 이집트에서 노예 생활을 하다가 탈출해서 나라를 세웠고,
멸망하여 바빌론으로 유배를 떠났다가 돌아오는 우여곡절을 겪었다.
그러면서 그 체험 속에 깃든 삶의 지혜를 진지하게 사색하고,
야훼 신앙 안에서 나름대로 해결책을 모색하는 가운데
내놓은 작품들이 바로 지혜문학서다.
결국 이스라엘의 지혜문학은 그들의 역사적 경험과 인근 국가들의 영향 아래
이루어졌으며, 고대 동방의 지혜문학을 토착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이스라엘의 지혜문학은 지혜의 원천을 하느님으로 고백하며,
하느님을 경외하고 하느님의 뜻대로 살아갈 것을 강조한다.
4. 시서와 지혜서 각 권
①욥기 : 의인이 겪는 고통의 의미를 묻는 설화적 드라마.
②시편 : 150편에 달하는 종교적 詩歌들로 기도 및 찬양의 노래.
➂잠언 : 종교적, 세속적 지혜 금언과 속담 모음집.
④코헬렛 : 인생의 虛無와 인간 안에 나타나는 하느님의 지혜에 관한 설명.
⑤아가 : 이스라엘 백성에 대한 하느님의 사랑과
교회에 대한 그리스도의 사랑을 담은 서정시.
⑥지혜서 : 지혜를 추구하라고 권유하며,
우상숭배를 단죄하고 하느님의 지혜를 찬양.
⑦집회서 : 신성한 도덕률과 죄에 대한 윤리적 책임,
하느님의 징벌 원칙을 주장.
<성경읽기 안내/성서와 함께>
'성경 자료 > 구약공부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렉산더와 헬라제국 (0) | 2018.09.10 |
---|---|
아가서 내용 요약 (0) | 2018.07.03 |
알렉산더 대왕과 死後 헬라제국의 분열 (0) | 2018.07.02 |
토빗기 입문 (0) | 2018.07.02 |
열왕기와 역대기의 비교(차이점) (0) | 2018.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