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왕기와 역대기의 비교(차이점) | ||
| 열왕기 | 역대기 |
구 분 및 특 징
| 열왕기는 신명기계 역사서로 분류한다.
⇒신명기계 역사서 : ①해당 성경 : 여호수아기, 판관기, 사무엘기, 열왕기
②시나이계약 중요시,
➂바빌론에서 유배생활을 하고있는 현실에서 출발하여 과거와 현재를 조망한다.
④계명에 대한 순종과 불순종에 따라 축복과 저주가 내려진다. 신명기는 하느님께 순종하면 축복을 받지만 불순종하면 징계를 받는다고 기록. <타락⇒징벌⇒회개⇒구원> 도식이 반복.
④단순히 역사적 사건을 기록한 것이 아니라 역사 속에서 활동하시는 하느님을 소개하며, 회개와 순종을 통한 구원을 강조하고 있다. | 역대기는 역대기계 역사서로 분류한다.
⇒역대기계 역사서 : ①해당 성경 : 역대기, 에즈라기 느헤미야기
②다윗 계약 중요시.
➂연감이나 일지형식의 기록이긴 하나, 객관적 역사 사실에 대해 정확하게 기록하기보다 그 사건에 관한 해석과 교훈에 관심을 둔다.
④다윗 집안이 일으킨 예루살렘 성전과 祭儀에 대하여 강조한다. ⇒찬란했던 다윗왕조를 회복하자는 희망을 갖게 하기 위한 데 있다.
|
편집시기 | 기원전 621-550년 사이 바빌론 유배 중에 편집..
| 기원전 330-250년경 편집. (바빌론유배에서 귀환 후 200년이상 경과 후) |
공 통 점 | ①두 역사서는 모두 이스라엘이 범죄하고 타락함으로 말미암아 하느님의 징계가 내려지고, 회개하면 구원을 받을 수 있음을 역설하고 있다.
②두 역사서가 서로 다른 시각에서 쓰여졌다고 할지라도 그 근본적인 주제는 같다. |
차이점
| ①신명기 역사서가 가나안 정복시대로부터 시작하고 있는 것에 반해 역대기 역사서는 아담으로부터 시작되는 족보(1-9장)의 서술로부터 시작된다.
②역대기의 관심은 지속적으로 불순종했던 북 이스라엘보다 남 유다에 국한되어 있다. 이는 남 유다가 참 이스라엘이며 포로기 이후의 이스라엘 공동체의 중심은 예루살렘이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➂열왕기가 남북 두 왕국의 역사를 모두 기록하고 있음에 반해 역대기는 남 유다와 성전을 중심으로 기록하고 있다. (북 이스라엘의 역사는 기록 않는다.)
④열왕기가 예언자적인 시각에서 기록된 역사서라면 역대기는 성전과 제사에 대해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⑤역대기는 페르시아 고레스 왕의 명령으로 유대인들이 예루살렘으로 돌아와 성전을 재건한 사실을 강조한다. 이처럼 역대기는 성전과 제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⑥역대기는 똑같은 역사를 다루면서도 열왕기와는 다르다. 즉 같은 왕이라도 어떤 왕은 선하게, 어떤 왕은 악하게 묘사하고 있다(예, 므낫세의 治世).
|
'성경 자료 > 구약공부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렉산더 대왕과 死後 헬라제국의 분열 (0) | 2018.07.02 |
---|---|
토빗기 입문 (0) | 2018.07.02 |
신명기계 역사서와 역대기계 역사서 (0) | 2018.04.17 |
역사서 (0) | 2018.04.17 |
성막과 구조 (0) | 2018.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