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즈라기와 느헤미야기 입문 ; 귀환과 개혁의 책
1. 책의 성격과 명칭
*에즈라기와 느헤미야기는 : 유배에서 돌아온 유다인들이
종교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조직을 갖추고 국가를 재건하는
오래고도 힘든 과정가운데서
중요한 사건 몇 가지를 간추려 실은 책.
*이 책들의 명칭은 : 이 시대에 활약하였던 두 인물
에즈라와 느헤미야의 이름을 따른 것.
⇒이 책들은 히브리 성경에서는 원래 에즈라기 한권으로 되어 있었는데,
후에 에즈라기와 느헤미야기로 구분하였다.
2. 兩大 포로사건과 귀환
*Is 백성이 포로로 사로잡히는 사건이 두 무대에서 벌어지는 데,
아시리아 유배와 바빌론 유배이다.
․ 아시리아 유배(사마리아 함락, 기원전 722년, 2열왕 17장) :
10지파로 구성된 北Is 왕국 대부분의 백성들과 지배자들이
아시리아로 끌려가 그곳의 주민들 사이에 흩어진다.
․ 바빌론 유배(예루살렘의 함락, 기원전 587년, 2열왕 25장) :
기원전 587년에 있었던 예루살렘 함락은
南 유다왕국의 운명을 결정한 사건이었다.
유다 민족들이 느부갓네살에 의해 바빌론으로 끌려갔으며,
열왕기 하권은 유다 역사의 이 비극적인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끝맺고 있다.
3. 구분 :
에즈라 1-6장 : 첫 귀향과 유배자들의 성전 재건
에즈라 7-10장 : 에즈라의 귀향과 개혁.
느헤미야 1-13장 : 예루살렘 성벽재건과 종교개혁.
4. 회복을 꾀한 지도자들
*에즈라 :
①아론의 후손이며 레위족의 사제이고 율법학자인 에즈라는
바빌론 포로시대에 페르시아 정부에서 유다인 문제를 담당했다.
②후에 Is의 귀국이 실현되었을 때 페르시아 왕으로부터
유다와 사마리아를 통일시킬 임무를 받고
기원전 398년에 예루살렘으로 귀국하지만 성공하지 못한다.
③에즈라는 어느 정도 정돈되어 있던 서책과 구전 전승들을 모아
성경으로 총 마무리하는 작업에 종사했다고 한다.
*느헤미야 :
①유배지 바빌론에서 페르시아 왕을 섬기던 정부 고관 느헤미야는
왕에게 예루살렘의 재건을 신청하여 허락을 받는다.
②기원전 445년에 귀향한 그는 성전을 신성하게 지키기 위한
종교개혁을 실시하여 큰 성과를 거두었고,
신약성경에서 볼 수 있는 유다이즘의 기초를 낳았다.
5. 유배로부터 귀환 과정 | |||||||
귀 환 |
첫 번째 귀환 |
두 번째 귀환 |
세 번째 귀환 | ||||
참조 |
에즈라기 1-6장 |
에즈라기 7-10장 |
느헤미야기1-13장 | ||||
연대 |
BC 538년 |
BC 458년 |
BC 444년 | ||||
지도자 |
세스바쌀, 즈루빠벨, 예수아 |
에즈라 |
느헤미야 | ||||
페르샤왕 |
고레스 |
아르닥사싸 1세 |
아르닥사싸 1세 | ||||
칙령의 요령 |
․많은 사람들의 귀환을 허락하다. ․성전의 再수축을 왕실 국고로써 보조케 하다. ․성전기구 돌려주다. |
․많은 사람들의 귀환을 허락하다. ․국고로써 경비를 지원하다. ․관리들과 판사들의 임명을 허락하다. |
․성벽의 재축성을 허락하다. | ||||
귀환자 수 |
42,360+7,337(종들) = 49,697명 |
일반인 1,500 + 레위인 38 + 막일꾼 220 = 1,758명 |
불확실 | ||||
일의 경과, 완성 및 문제점들 |
성전 공사의 시작. 희생제물을 바치고 성전 봉헌예배를 드리다. 사마리아인들의 방해로 BC 520년까지 성전공사를 중단하다. BC 516 성전의 완성. |
이민족과의 雜婚으로 인한 문제점들. |
산발랏, 토비야, 게셈 등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52일간에 걸친 성벽증축 공사를 마치다. 성을 봉헌하고 법전을 낭독하다. |
'성경 자료 > 구약공부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욥 이야기 (0) | 2014.04.23 |
---|---|
마카베오 항쟁 (0) | 2014.04.23 |
칠십인역 성경이란? (0) | 2014.04.22 |
디아스포라(Diaspora) (0) | 2014.04.17 |
앗시리아 (0) | 2014.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