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다이즘(Judaism)
1. 유다이즘은 : 이스라엘 백성이 바빌론 유배에서
해방(기원전 538년)된 때부터
오늘날까지 이어오는 유다교의 정신으로,
메시아 대망, 구원의 길을 제시한
율법준수 등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2. 유다이즘의 발생 및 형성 :
*바빌론의 유배 생활(BC 586-538) : 유다이즘의 발생
新바빌로니아의 느부갓네살 왕이
세 차례(BC 597, 587, 582)에 걸친 유다 왕국을 침공하여,
유다의 왕족들과 귀족들, 사제들을 바빌론으로 끌려가
비참한 노예 생활을 하게 되었다.
*그들은 : 바빌론 유배 생활을 통해
그들이 하느님을 섬기지 않고 우상을 섬겼기 때문에
이러한 재앙이 초래되었음을 뼈저리게 반성하였다.
⇒그래서 제관들과 율법학자들을 중심으로
할례와 율법을 더욱 잘 준수하고,
이스라엘의 전통을 찾고자하는 유다이즘이 발생되었다.
3. 페르시아 치하의 이스라엘(BC 538-333) : 유다이즘의 형성
*페르시아의 고레스 왕이 중동의 패권을 잡자
이스라엘은 페르시아 치하에 들어가게 되었다.
*고레스 왕은 : 종교 정책에 개방적이었으며
기원전 538년에 이스라엘 포로들을
고국으로 돌아가도록 칙령을 내렸다(에즈 1, 1-11).
그리고 그곳에서 성전을 짓고 살도록 허락했다.
*그러자 이스라엘 사람들은 즈루빠벨의 지도하에
기원전 520년부터 515년에 걸쳐
예루살렘 성전을 완공하고,
기원전 516년에 성전 봉헌식을 거행하며
제사를 드리는 기쁨을 맛보았다.
*그러나 율법을 준수하는 일에 게을러지고
신앙의 유혹에 자주 빠지게 되었다.
*그래서 유다 총독으로 있던 느헤미아는
기원전 430년경 유다인들에게
율법과 안식일을 지키도록 명하고
외국인과의 결혼을 금했다(느헤 13, 1-22).
*그리고 선비이며 사제인 에즈라도 사람들 앞에서
모세의 법전을 읽어주고 해설해 주었으며,
이스라엘 백성들로 하여금 율법을 공부하도록
깨우쳐 주었다(느헤 8, 1-18).
*이때부터 이스라엘 백성은 율법을 연구하고 준수하는데
큰 의의를 두었으며,
모세 오경도 이때 최종적으로 집대성되었다(기원전 400년경).
국가와 통치 제도도 없이 페르시아 치하에 있었으면서도
유다인들이 존속될 수 있었던 것은 율법을 중심으로 하는
공동체로 철저하게 결속되었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자 유다이즘이 형성되고,
예언자들의 역할은 감소하고 차츰 사라지게 되었다.
'성경 자료 > 성경 일반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다인들의 세금 (0) | 2014.10.02 |
---|---|
유다인들의 거주 지역별 분류 (0) | 2014.10.02 |
유다교의 회식 (0) | 2014.10.02 |
유다교 (Judaism) (0) | 2014.10.01 |
유다 최후의 국왕들 (0) | 2014.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