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1,37-41
그때에 37 예수님께서 다 말씀하시자,
어떤 바리사이가 자기 집에서 식사하자고 그분을 초대하였다.
그리하여 예수님께서 그 집에 들어가시어 자리에 앉으셨다.
38 그런데 그 바리사이는 예수님께서
식사 전에 먼저 손을 씻지 않으시는 것을 보고 놀랐다.
39 그러자 주님께서 그에게 이르셨다.
“정녕 너희 바리사이들은 잔과 접시의 겉은 깨끗이 하지만,
너희의 속은 탐욕과 사악으로 가득하다.
40 어리석은 자들아, 겉을 만드신 분께서 속도 만들지 않으셨느냐?
41 속에 담긴 것으로 자선을 베풀어라. 그러면 모든 것이 깨끗해질 것이다.”
오늘의 묵상
노란 색안경을 끼면 세상이 다 노랗게 보이고, 파란 색안경을 끼면 세상이 다 파랗게 보입니다.
우리는 저마다 마음의 색안경을 하나씩 끼고 있지 않나 생각해 봅니다.
성악을 하는 제 친구는 음악 이야기 하는 것을 무척 좋아하고, 성악과 관련된 것에 무척 예민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의 목소리, 가수들의 노랫소리 등에 다른 사람보다 더욱 관심을 두고 듣습니다.
‘음악’이라는 색안경을 끼고 살기 때문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식탁 위에 놓인 음식을 바라보는 바리사이의 시선과 예수님의 시선은 달랐습니다.
이는 바리사이가 낀 색안경과 예수님께서 끼신 색안경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바리사이는 ‘율법’이라는 색안경을 꼈습니다. 그에게 중요한 것은 ‘율법을 지키느냐, 그렇지 않느냐?’입니다.
율법을 지키면 선이고, 율법을 지키지 않으면 악입니다.
그리하여 식사 자리에서 율법에 따라 손을 씻느냐의 여부에만 관심을 둡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예수님을 판단합니다.
반면 예수님께서는 ‘사랑’이라는 색안경을 끼셨습니다.
식탁에 그릇과 음식이 놓일 때 그분께서는 그 음식들을 보면서 가난한 사람들을 떠올리십니다.
마치 자식을 군대에 보낸 어머니가 맛있는 음식을 볼 때마다 자식을 떠올리는 것처럼 말입니다.
그래서 예수님께서는 음식 앞에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속에 담긴 것으로 자선을 베풀어라.”
우리는 어떤 색안경을 끼고 살고 있습니까?
성찬의 식탁에 올려진 성체와 성혈을 사랑이라는 색안경으로 바라보지 않는다면,
우리의 제사는 헛된 것이 되고 말 것입니다. (한재호 루카 신부)
'성경 자료 > 오늘복음 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15 아벨의 피부터 즈카르야의 피에 이르기까지 예언자들의 피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 (0) | 2020.10.15 |
---|---|
10/14 불행하여라, 너희 바리사이들아! 너희 율법 교사들도 불행하여라! (0) | 2020.10.14 |
10/12 이 세대는 요나 예언자의 표징밖에는 어떠한 표징도 받지 못할 것이다. (0) | 2020.10.12 |
10/11 아무나 만나는 대로 잔치에 불러오너라. (0) | 2020.10.11 |
10/10 선생님을 배었던 모태는 행복합니다. 하느님의 말씀을 듣는 이들이 오히려 행복하다. (0) | 2020.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