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자료/성경 일반 자료

무화과(無花果) 나무

윤 베드로 2014. 7. 7. 15:37

☆무화과(無花果) 나무

 

1. 무화과 나무란? :

 

無花果라는 漢字는 : 꽃이 눈에 띄지 않고

                                 열매를 맺는 것에서 연유.

 

무화과 나무 :

①쐐기풀목 뽕나무과 낙엽 활엽 관목.

재배과수로서는 세계에서 최고의 역사.

③원산지는 소아시아 또는 아라비아 남부.

BC 2000년경부터 이스라엘을 위시하여

        지중해 연안지방에 널리 재배.

     ․새 가지에 꽃눈이 발달하고 연내에 익는 것을 추과(秋果),

     ․월동하여 이듬해 여름에 익는 것을 하과(夏果).

⑤날로 먹는 것 외에 건과(乾果)․ 동과(凍果)․

           페이스트․ 잼․ 설탕절임․ 시럽통조림 등으로 가공.

 

2. 상징 :

①지혜의 나무 : 지상의 낙원에서 아담과 이브는

               지혜의 열매를 먹었기 때문에

               벌거숭이인 것을 깨닫고 부끄러워서

               무화과 잎으로 몸을 가렸다(창세기 3,7).

     그 때문에 종종 지혜의 나무는

         초기 그리스도교 시대부터 무화과나무로 표현되었다

          (나중에는 점차로 사과나무가 많이 쓰이게 되었다).

 

②욕망의 상징 : 원죄와의 연관으로 욕망의 상징이기도 하다.

③不毛, 유대인 의미 : 열매를 안맺는

             무화과나무(마태21,19)는 불모(不毛)를 의미하고,

             때로는 유대교회(시나고그)와 유대인을 암시한다.

 

④구원 상징 : 중세 말기 이래 그리스도의 ‘수난’ 그림에는

                             자주 이 식물이 나타나 있는데,

           이것은 ‘그리스도의 십자가가 구원의 열매를 맺듯이,

                      무화과도 자연히 과실을 열게 한다’는 의미로

                      구원을 상징한다고 여긴다.

 

⑤죽음 암시 : 또는 반대로 이것을 죽음을 암시하는

            말라버린 무화과로 보는 견해도 있다.

 

⑥성모 곁에 있는 무화과는

           성모가  새로운 이브(원죄를 범한 이브에 대해서

                이것은 속죄하는 그리스도를 낳은 여인이라는 의미)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⑦풍요의 상징 : 이 열매는 많은 씨를 가지고 있으므로

                         풍요의 상징으로도 본다.

 

※이스라엘에서 무화과나무는

         많은 열매를 맺는 나무로 존중되었고,

         평화, 안정, 번영의 표징으로 간주.

  ․무화과나무가 꽃피고 많은 열매를 맺는 것은 :

              θ께서 당신 백성을 축복해주는 것으로

                        (요엘 2,22 ; 하깨 2,19),

  ․메마르고 열매 맺지 못함은 : θ의 심판으로 간주.

                  (예레 5,17 ; 8,13 ; 호세 2,14 ; 요엘 1,7.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