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성경 공부/바울로서간 공부

사목서간 입문

윤 베드로 2014. 6. 21. 14:10

사목서간 입문(사목자들에 대한 충고의 서신들 : 디모테오 전․후서, 디도서)

 

1. 사목서간이란?

 

디모테오 전․후서와 디도서 등 세 서간은 :

     ①교회 지도자들에게 교회의 직분, 교계제도와 조직,

              이단에의 대처 등 제반 사목 문제에 관하여

                          지시하고 있을 뿐이다.

     ②각 서간의 문체와 어법, 내용과 신학사상에 있어서도

           서로 비슷하고 공통점이 많이 나타난다.

     ③따라서 이러한 두드러진 특성 때문에

                   이 세 서간은 18세기부터 ‘사목서간’이라 불려 왔다.

     ④이들 사목서간에는 귀한 자료들과 함께,

                초창기 교회론적 가르침과 그리스도론적 가르침에 관한

                전승도 수록되어 있다(Ⅰ 디모테오 3, 16 ;

                 6, 15-16 ; Ⅱ 디모테오 1, 8-10 ; 2, 8-13 ; 디도 3, 4-7).

     ⑤그리고 이 서간들의 상호관계를 비교할 때

                   가장 사목적 성격이 두드러진

                디모테오 전서는 '복음의 수호(6, 20)'를,

                개인적 성격이 강한 디모테오 후서는 '복음의 선포(4, 2)'를,

                디도서에서는 '복음의 실천(3, 8)'을 강조하고 있다.

 

2. 필자문제

사목서간들은 : 2세기말의 이레네오 증언과

       서기 200년경에 작성된 신약성서 목록에 의해

      바오로 서간으로 보고 있는데 이는 오랜 교회의 전승.

⇒그러나 19세기부터 사목서간의 내용이나 어휘, 용어 등이

             바오로의 서간과 다르다는 이유 때문에

             바오로가 직접 썼다는 사실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

 

3. 바오로의 親書와의 비교

①어휘 : 사목서간에 사용된 어휘 가운데 36%는 바오로의 친서에 나타나지 않고,

                     20%는 신약성서 전체에도 사용되지 않는 어휘.

②문체 : 바오로의 친서처럼 힘차고, 정열적이 아니라

                           냉정하고 이해하기 쉽다.

 

③이단 : 사목서간에서는 바오로처럼

             이단의 오류에 대해 일일이 논박하지 않고,

             오직 그것이 건전한 가르침과 어긋나므로

              철저히 배격하도록 역설한다.(Ⅰ디모테오 6, 3 ; Ⅱ 디모테오 2, 14).

 

④교회상 : 바오로의 친서와 달리 사목서간에 나타나는 교회 모습은

                     교계제도의 기틀이 상당히 잡혀 있고,

                감독자, 장로, 봉사자 등 성직자들의 자격과

                            자질에 대한 규정도 존재.

 

⑤성령의 은사 : 바오로의 친서에는

               성령의 작용인 은사가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사목서간에서는 예언의 은사만 남고(Ⅰ디모테오 1,18 ; 4,14),

                      그 밖의 은사들은 교계제도에 흡수된다.

 

⑥ 신학사상 : 바오로의 신학사상과 차이가 있다.

 

구 분

     바오로 서간

            사목 서간

재 림

내림(來臨, parousia)

시현(示現, epiphania : 재림 + 육화의 뜻,

    디모테오후서 1, 10 ; 디도 2, 11 ; 3, 4)

구원 관점

십자가와 부활

예수의 지상생활 전체

            (디도 2, 11 ; 3, 4)

肉과 靈

대립된 것으로 파악

대립된 것으로 보지 않음

           (디모테오 전서 3, 16)

의(義)

믿는 사람이 하느님의

    은총으로 받는

    구원사건으로 이해

경건성, 인간의 도덕적인 강건성,

인간은 구원을 얻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디모테오전서 6, 11 ; 2, 22)

믿 음

결단이 요구되는

           신앙행위로 봄

신앙행위가 아닌 신앙의 내용으로 봄

       (디모테오전서 3, 9 ; 후서 3, 8)

종말론

곧 다가올 것으로 이해

먼 미래의 것으로 이해하여

      교계제도와 현세질서를 중요시.

 

4. 수신인

1). 디모테오 :

․디모테오의 집은 데르베(사도행전 16, 1)였고

                   이방인 아버지와 유다인 어머니 사이에서 출생하였다.

․그는 바오로의 1차 전도여행 때 어머니와 함께 개종했으며(사도행전 16, 1-2),

         Ɵ의 사람으로 불리운 신앙이 깊고 진실한 지도자였다(Ⅰ고린토 4, 17).

․그는 사도 바오로의 협력자로 그 이름이 신약성서에 24번 언급된다.

․데르베 사람들은 디모테오를 바오로의 2차 전교여행 때

          바오로의 보조자추천하였으며,

            이때 바오로는 그에게 할례를 베풀고

             말씀의 봉사자로 축성하였다(사도행전 16, 3-5).

․디모테오는 바오로의 전교여행 동안 바오로에게 필요한 도움을 주었으며,

        전교시 신생교회를 돌보았고 바오로와 함께 감옥에 갇히기도 하였다.

․그리고 바오로의 3차 전교여행 때는 에페소에서 3년간 함께 있었다.

 

⇒성서에서는 그의 성격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섬세하고 애정이 깊다(Ⅰ고린토 4, 17 ; 필립비 2, 20-21).

    ․겁이 많고 재치가 있다(Ⅰ고린토 16, 10-11 ; Ⅰ디모테오 4, 12 ; Ⅱ디모테오 1, 6-7).

    ․신앙심과 충실성(Ⅰ고린토 4, 17)

    ․양심적(필립비 2, 19-23)

    ․육체적인 허약(Ⅰ 디모테오 5, 23).

 

2). 디도(Titus)

이 이름은 : 당시 흔하던 라틴 이름이며,

디도는 : 이방인 출신으로 안티오키아에 살았다(갈라디아 1, 21).

              그는 바오로의 전교여행 중 개종한 것 같고

                                     (디도 1, 4 ; Ⅰ고린토 4, 15),

               바오로와 바르나바와 함께 예루살렘 공의회에도 참여한 듯하다.

               바오로의 3차 전교여행 중에는

                        고린토 교회의 대리자로 있었으며,

               바오로가 첫 번째 투옥에서 탈출한 뒤에는

                             그레데 교회에 바오로의 대리자로 있었다.

 

그의 성격은 : ․강한 애정과 용기와 열성을 지님

                       ․지혜롭고 실질적.

 

디모테오와 디도의 비교

구분

디모테오

디 도

공 통 점

출신

반(半)유다인

이방인

․젊고 은혜를

         많이 받음

․바오로의 통역자

․어려운 교회에

            충실히 봉사.

할례

바오로에 의해

                받음

받지 않음

활동

고린토와 에페소

      교회에 봉사

고린토와 그레데

       교회에 봉사

성격

예민하고 수줍음

강하고 고집셈

성경

근거

사도행전에 언급

사도행전에

       언급되지 않음

 

5. 집필연대 및 장소

사목서간이 假名書簡이라 할 때 시기와 장소를 알 수 없다.

②바오로가 필자라면 62년경 마케도니아나 고린토에서 쓰여졌으리라고 본다.

③바오로의 훨씬 후대 사람이 저술하였다고 한다면

                 사목서간은 바오로의 친서들이 정리되던

                 90년 이후 저술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사목서간에서는 감독자와 장로가 구별되지 않고 있지만,

             서기 117년 경 안티오키아의 주교 이냐시오가

             ‘막녜시아인에게 보낸 편지’(3,2 ; 6,1)에서

              감독자를 장로나 봉사자들과 구별하여

               교회의 최고 지도자로 지칭하기 때문에

               사목서간의 집필연대는 대체로 서기 100년경으로 추정할 수 있다.

'신약성경 공부 > 바울로서간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오로 사도의 중요성  (0) 2014.07.12
히브리서 입문  (0) 2014.06.21
에페소서 입문  (0) 2014.06.21
훈계편(3,18-4,6)   (0) 2014.06.04
그리스도 안에서 삶(2,6-3,17)  (0) 2014.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