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 아폴로가 고린토에 머물러 있는 동안 바울로는 북부 지방을 거쳐 에페소에 이르렀다.
거기에서 몇몇 신도들을 만나 2 "당신들이 신도가 되었을 때 성령을 받았습니까?" 하고
물어 보았다.
그랬더니 그들은 "우리는 성령이라는 것이 있다는 말조차
들어 보지 못하였습니다" 하고 대답하였다.
3 바울로가 "그러면 당신들은 어떤 세례를 받았습니까?" 하고 다시 묻자
그들은 "요한의 세례를 받았습니다" 하고 대답하였다.
4 이 때 바울로는 다음과 같이 일러 주었다.
"요한은 사람들에게 죄를 회개한 표시로 세례를 베풀었습니다. 그러나 요한은 자기 뒤에 오실 분
곧 예수를 믿으라고 사람들에게 가르쳤던 것입니다."
5 그들은 이 말을 듣고 주 예수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
6 바울로가 그들에게 손을 얹자 성령께서 그들에게 내리셨다.
그러자 그들은 이상한 언어로 말을 하고 예언을 하기 시작하였다.
7 이렇게 성령을 받은 사람들은 모두 열 두 사람쯤 되었다.
8 바울로는 석 달 동안 회당을 드나들며 대담하게 증언하고 하느님 나라에 관하여 토론도 하고
알아듣도록 설명도 해 주었다.
9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오히려 마음이 더 굳어져서 믿으려 하지 않고 바울로가 전하는
그리스도교를 회중 앞에서 비난하였다.
그래서 바울로는 그들과 손을 끊고 신도들을 데리고 나가 디란노 학원에서 날마다 토론을 벌였다.
10 이렇게 두 해를 계속하는 동안에 아시아에 사는 사람들은 유다인이나 이방인이나 할 것 없이
모두 주님의 말씀을 듣게 되었다.
*에페소에는 : 민족․종교․나라가 다른 혼합된 주민이 살고 있었다.
*바울로는 : 거기에서 신도들을 만나지만 아폴로의 경우와 같이
그들은 세례자 요한의 추종자들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자신들을 그리스도인이라고 생각했다.
*세례자 요한의 제자로서 그들은 :
비록 구약적인 의미에서였지만 하느님의 성령에 대해 알았을 것이다.
그러므로 성령에 대해 알지 못한다고 한 그들의 대답은,
그들이 성령을 부활하신 주님이 인간에게 주신 특별한 선물로서,
그리고 복음의 메시지에 속하는 것으로서 알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본다.
⇒19,1-6절은 : 요한의 세례와 성령의 세례가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18,25절의 주제를 대화체로 풀어 설명하고 있다.
즉, 성령의 신비가 예수 그리스도의 세례와 특별한 관계를 갖기 때문에
바울로는 그들의 세례에 대한 질문을 하고 그리스도의 세례를 그들에게 소개한다.
*에페소에서 유대인들에게 한 바울로의 가르침의 주제는 : 하느님 나라(8-10절).
이것은 구약으로부터 그들에게 친밀한 개념이다.
성서에서 묘사된 대로 이스라엘의 역사는 하느님 나라로 가는 길이다.
⇒바울로는 : 비시디아의 안티오키아에서 유대인 청중들에게
θ나라의 메시지를 에집트 노예생활의 탈출로부터
다윗을 거쳐 마침내 세례자 요한에 이르고,
곧 이어 때가 차서 하느님께서 조상들에게 약속하신 것을
예수가 이루었다는 기쁜 소식을 전한다.
예수의 죽음과 부활은 에페소에서도 메시지의 중심이다.
*바울로는 : 석 달 동안 유대인들을 이해시키려고 노력하지만
다른 곳에서와 같은 경험을 하게 된다.
그래서 유대인의 회당을 떠나 디란노 학원에서 날마다 토론을 벌임으로써
이방인들에게 복음을 설파하였다.
'신약성경 공부 > 사도행전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울로의 에페소 전도활동 (0) | 2023.01.26 |
---|---|
에페소에서 일어난 소란(19,21-40) (0) | 2023.01.25 |
에페소에서 전도한 아폴로(18,24-28) (0) | 2023.01.20 |
안티오키아에 돌아간 바울로(18,18-23) (0) | 2023.01.18 |
바울로의 제3 차 전도 여행 (18,18-21,16) (0) | 2023.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