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오로의 편지들 | ||||
편지 명칭 |
수신교회의 당면문제 혹은 편지의 배경 |
집필 장소 |
집필 시기 |
주요 내용과 특징 |
① 데살로 니카 전서 |
이방계 신자들이 이교도들의 생활방식 속에 살면서 정결 준수에서 오는 갈등과 신앙에 대한 가르침의 부재로, 특히 파루시아(재림)에 대한 혼란이 야기되었음 |
고린토 |
제2차 전도 여행 중
50-52 |
신약성서 중 가장 먼저 씌어진 책으로, 데살로니카 신자들에게 다시 한번 신앙의 기초를 다지게 하고, 건전한 생활로 떳떳한 종말을 맞이하라 권유. |
유럽에 세워진 최초의 교회인 필립비교회 신자들의 신앙적인 성장과 이를 방해하는 적들에 대해 언급. 신앙의 진리들을 고수하는데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공동체의 일치에 덧붙여서 그리스도 안 에서의 삶에서 나오는 온정과 위안과 격려를 지니도록 고무함. | ||||
② 필립비서 |
다른 교회보다 특히 바울로와 긴밀한 유대관계를 맺으며 신앙을 지켜오던 중 바울로가 갇힌 소식을 듣고 위안의 선물을 보냄. |
에페소 감옥 |
53-57 | |
③ 고린토 전서 |
고린토 교회가 영적인 은사들을 풍부히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신자들간에 파벌이 생기고 도의적, 윤리적, 종교적인 면에서 문제가 발생했다는 소식을 클로에 집안 사람들로 부터 들었음. |
에페소 |
제3차 전도 여행 중
54-57 |
바울로 자신이 세운 교회에 자신의 사도적 권위를 주장하고, 그 교회의 일치를 방해하는 여러가지 영적인 문제들 (분파, 거짓된 지혜, 부도덕, 추문, 우상숭배, 결혼과 독신에 대한 오해, 영적 은사에 대한 자만심 등) 에 대한 그리스도교 신앙의 원칙을 제시함. |
④ 고린토 후서 |
바울로의 방문 뒤 눈물로 쓴 편지를 디도편에 보낸이후에야 그들이 바울로의 가르침을 받아 들였다는 소식을 듣고 일단 안도하지만, 아직은 고린토교회의 분열상이 치유되지 않음 |
마케 도니아 |
제3차 전도 여행 중
54-57 |
바울로 생애에 대한 가장 자세하고 개인적인 내용을 제공해주는 서간으로 바울로 자신의 성실성과 사도로서의 권위에 제기된 의문들에 대해 변호함.
|
바오로의 편지들 | |||||
편지 명칭 |
수신교회의 당면문제 혹은 편지의 배경 |
집필 장소 |
집필 시기 |
주요 내용과 특징 | |
⑤ 갈라디아서 |
50년 바울로가 갈라디아 교회를 세우고 떠난 후 예루살렘에서 온 전도자들이 할례와 안식일, 금식법규 등의 율법준수를 강조하면서 바울로가 전한 복음을 비난함. |
에페소 |
55년경 |
바울로의 개성이 잘 드러난 편지로, 율법이 아니라 믿음으로써 구원을 받는다는 그리스도교 신앙의 핵심을 강조하면서 참된 그리스도교적 자유를 누리는 삶을 추구하도록 촉구함. | |
⑥ 로마서 |
동방의 교회설립을 끝낸 바울로는 로마공동체를 방문할 계획을 세우고, 형제적인 마음으로 자신의 믿음을 로마인들과 함께 나누고 그들에게 자신의 방문을 준비시키고자함. |
고린토 |
56년경 |
바울로 신학의 절정으로서, 갈라디아서의 주제들을 더 차분하게 제시함. 복음은 θ의 의로움(정의)이 드러난 것으로서 인간을 구원하는 것은 그리스도께 대한 믿음을 통해서라는 주제를 개진해나가며 일상생활을 위한 실천적인 결론들을 이끌어 냄. | |
⑦ 골로사이서 |
예수의 신성을 배척하고 율법의 관습이나 의식에 집착하는 이단적 교의에 의해 신앙이 위협받고 있다는 소식을 에바프라에게서 들음. |
|
70년경 |
그리스도께서 피조물과 θ사이의 조화를 회복시켜 주셨으므로, 이 조화를 실현하고 완성해야 하는 교회구성원은 그리스도께서 당신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이룩하신 화해의 살아있는 표지들로서 그에 따라 살아야함을 역설. | |
⑧ 에페소서 |
특정의 교회를 상대로 한 것이 아니라 여러 공동체들이 읽도록 하기 위한 회람 편지로 씌어짐 |
|
70년경 |
골로사이서와 주제 및 형식에 있어 유사하나 더 차분하고 명상적임. 당신 백성에 대한 θ의 무한하신 사랑에 대해 가르치고 사랑과 겸손의 정신으로 가정과 사회에서의 의무들을 수행함으로써 일상생활 속에서 그리스도를 공경하라고 촉구함. |
'신약성경 공부 > 바울로서간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마서의 줄거리 (0) | 2014.04.10 |
---|---|
바울로의 편지를 효과적으로 읽으려면 (0) | 2014.04.10 |
바오로와 예수 (0) | 2014.04.10 |
바오로의 서간 (0) | 2014.04.10 |
바오로의 생애와 주요 활동(요약) (0) | 2014.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