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계 교회와 애제자
1. 신약성경에는 : 요한이라는 이름이 달린 작품이 다섯 편 나온다.
즉, 요한 복음서, 요한 1․2․3서, 요한 묵시록이다.
이 다섯 편의 글은 내용으로나 신학적으로 모두 공통점을 가진다.
⇒그래서 이를 ‘요한계 문헌’이라 부르고,
요한계 문헌을 편집한 작가들을 ‘요한 학파’,
그들이 정착해 신앙생활을 하던 교회를 ‘요한계 교회’라 한다.
2. 고대 지중해권에서 활동하던 모든 학파는 창시자가 있었다.
스토아학파의 창시자는 : 제논이고,
아카데미 학파의 창시자는 : 플라톤인 것처럼,
요한 학파의 창시자는 : 예수가 사랑하시던 제자, 일명 ‘愛弟子’였다.
⇒ ‘愛弟子’는 : 요한 복음서에 모두 여섯 번 나오는데(13,23-26 ; 18,15-16 ; 19,26-27 ; 20,2-10 ; 21,7 ; 21,20-23),
그 본문들을 보면 묘한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시종일관 의도적으로 애제자와 베드로를 비교한다는 점이다.
①13,23-26 : 애제자는 베드로보다 더 가까운 예수의 측근이고,
②18,15-16 : 사회적 지위도 베드로와는 상대가 안 되며,
③19,26-27 : 예수의 어머니를 모시는 영광을 얻었고,
④20,2-10 : 빈 무덤에 수제자인 베드로보다 빨리 도착한다.
⑤21,7 : 애제자는 부활한 예수를 어느 제자보다 정확하게 알아보았고,
⑥21,20-23 : 죽지 않으리라는 소문까지 날 정도였다.
3. 애제자가 여러모로 베드로보다 뛰어나다는 데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①요한 복음서가 씌어질 무렵
베드로계 교회와 요한계 교회 사이에 모종의 대립이 있었고,
요한계 교회는 나름대로의 정통성을 수립하고 싶었다.
②사실 베드로는 : 명실상부한 1세기 교회의 지도자로
예수의 부활․승천 직후 탄생한 예루살렘 모교회의 주축이었다(사도 2,1-41).
그에 비해 요한계 교회는 : 100년경에야 겨우 자리를 잡았는데,
그것도 유다 땅에서 먼 에페소였다.
⇒여러 가지 여건으로 볼 때 요한계 교회는 베드로계 교회에 뒤질 수밖에 없는 노릇이었다.
③요한계 교회의 입지를 굳건히 하기 위해서
나름대로 정통성을 제공할 만한 근거가 반드시 필요했다.
애제자라는 인물은 그런 맥락에서 파악할 수 있다.
애제자는 요한 학파, 나아가 요한계 교회의 창립자이다.
또한 애제자를 통해 요한계 교회 역시 베드로계 교회 못지 않게 예수와 직통하는
튼튼한 끈을 구축한 셈이다.
⇒애제자는 예수의 일생을 자기 눈으로 직접 보았으며, 본대로 전해준 믿음직한 증인이다(19,35-37).
초세기 교회의 여러 증언에 따르면, 애제자는 바로 12제자 중 하나인 요한이었다고 한다.
<복음서와 시간, 박태식, 생활성서>
'신약성경 공부 > 요한복음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한복음 2,1-4,42 요약 : 옛 종교와 새 종교 (0) | 2014.03.28 |
---|---|
요한복음 1장 요약 : 말씀 찬미가와 예수에 대한 증언 (0) | 2014.03.28 |
요한 복음서와 공관 복음서와의 관계 2 (0) | 2014.03.28 |
요한 복음서와 공관 복음서의 관계 (0) | 2014.03.28 |
요한 복음서를 보다 쉽게 이해하는 방법 (0) | 2014.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