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시대 이스라엘 상황과 종교 집단
1. 예수시대 이스라엘 상황
로마는 : 기원전 63년에 팔레스티나를 식민지화한 뒤,
각 식민지에 현지 출신 통치자를 앉히는 정책에 따라 헤로데를 유대인의 왕으로 삼았다.
예수는 헤로데 대왕이 다스리던 때에 태어났다.
⇒①로마제국은 : 팔레스티나 점령(기원전 63 - 기원후 313년)
②예수 시대에도 로마 속국 : 유대왕은 이두메아(에돔) 출신의 헤로데.
③당시에는 메시아 待望思想 : 예수 활동 당시(27-30년) 정치적 독립을 잃은
유대인들은 다윗과 솔로몬 시대를 그리워하며
로마속박에서 해방시켜줄 이스라엘의 위대한 왕
메시아를 기대(종교적인 행사는 비교적 자유).
④40년대 초부터 로마 총독들의 가혹한 탄압정책은 노골화.
⑤로마는 70년에 예루살렘을 파괴하고 성전을 태워 버림으로써 유대를 멸망.
⑥로마 정부의 조직과 규범은 그리스도 교회의 조직에 응용.
로마로 통하는 陸路와 海路는 선교여행에 이용.
2. 예수 시대의 종교 집단
종교 집단의 발생 : 기원전 152년 하스모네 가문의 요나단이 왕권과
대제관직까지 겸임하자 “경건한 사람들”이 반기를 들었다.
①그 가운데 평신도들이 주축이 되어 바리사이당을,
②일부 제관들이 주축이 되어 에쎄네당을 조직했다.
③그러나 대부분의 제관들과 예루살렘 유지들은 하스모네 가문에 동조하여 사두가이당을 조직했다.
⇒사두가이들은 : 모세오경만 성경으로 인정하고 죽은이들의 부활을 부인했다.
사실 부활사상은 모세오경에는 없고
기원전 2세기에 비로서 Is에 싹튼 사조였던 것이다.
1). 바리사이파 : ①모세 율법을 중시하며,
②다른 파에 비하여 힘이 있고 열심하여 그리스도의 정신에 가장 가까웠으나,
③예수의 가르침에 대하여 언제나 반발, 충돌.
2). 사두가이파 : ①고위 사제들파로서,
②로마 제국의 정책에 협력하는 입장
③바리사이파와 달리 죽은 자의 부활을 불인정.
3). 애국파(열성당, 혁명당) : ①사두가이파와 정반대로 로마와의 협력 관계를 일체 거부,
②납세거부, 무력항쟁.
4). 엣세네파 : ①가장 극단적인 反로마파. ②세상과 절연, 독신으로 광야에서 수도생활.
'성경 자료 > 신약공부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리사이파 사람들 (0) | 2014.03.21 |
---|---|
예수님의 말씀과 행적들의 분류 (0) | 2014.03.17 |
하느님 나라 (0) | 2014.03.17 |
메시아 비밀사상과 대망사상 (0) | 2014.03.17 |
갈릴래아 (0) | 2014.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