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7 복음 묵상
<빵을 많게 하신 기적으로 예수님께서는 예언자로 나타나셨다.>
✠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6,34-44
그때에 예수님께서는 34 많은 군중을 보시고 가엾은 마음이 드셨다.
그들이 목자 없는 양들 같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들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 주기 시작하셨다.
35 어느덧 늦은 시간이 되자 제자들이 예수님께 다가와 말하였다.
“여기는 외딴곳이고 시간도 이미 늦었습니다.
36 그러니 저들을 돌려보내시어,
주변 촌락이나 마을로 가서 스스로 먹을 것을 사게 하십시오.”
37 예수님께서 “너희가 그들에게 먹을 것을 주어라.” 하고 이르시니,
제자들은 “그러면 저희가 가서 빵을 이백 데나리온어치나 사다가
그들을 먹이라는 말씀입니까?” 하고 물었다.
38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너희에게 빵이 몇 개나 있느냐? 가서 보아라.” 하고 이르셨다.
그들이 알아보고서, “빵 다섯 개, 그리고 물고기 두 마리가 있습니다.” 하고 대답하였다.
39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에게 명령하시어,
모두 푸른 풀밭에 한 무리씩 어울려 자리 잡게 하셨다.
40 그래서 사람들은 백 명씩 또는 쉰 명씩 떼를 지어 자리를 잡았다.
41 예수님께서는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손에 들고
하늘을 우러러 찬미를 드리신 다음 빵을 떼어 제자들에게 주시며,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도록 하셨다.
물고기 두 마리도 모든 사람에게 나누어 주셨다.
42 사람들은 모두 배불리 먹었다.
43 그리고 남은 빵 조각과 물고기를 모으니 열두 광주리에 가득 찼다.
44 빵을 먹은 사람은 장정만도 오천 명이었다.
오늘의 묵상
“가엾은 마음”과 연관된 그리스어 동사는 ‘스플랑크니조마이’입니다.
이것은 내장이 끊기는 아픔을 가리키는데, 우리말로 ‘애가 녹는다.’ 정도로 번역이 되겠지요.
예수님의 마음은 불쌍한 이를 측은히 바라보시는 안타까움이 아니라,
그 불쌍한 이와 같은 처지, 한마음이 되어 함께 아파하는 마음입니다.
그럼, 누가 불쌍한 사람일까요? 한마음으로 함께 살아가는 데 익숙하지 못한 사람입니다.
굳이 빗대어 보자면, 오늘 복음의 제자들이 아닐까 합니다.
먹을 것이 없는 사람에게 먹을 것을 주는 것이 가장 낫겠지만,
그럴 형편이 아니라면 어떻게든 ‘함께’ 먹을 것을 찾아 나서는 마음이 예수님의 마음입니다.
“이백 데나리온”이라는 돈의 가치에 얽매여 ‘함께’의 길을 잃어버린 제자들,
그들이 바로 목자 없이 헤매는 양들이 아닐까 묵상해 봅니다.
살아가는 데 필요한 것들은 실은 아주 적습니다.
필요한 것의 양이 절대화되는 이유는 삶의 자리가 불안하기 때문이지요.
불안함을 덜어 내는 것은, 앞다투어 쫓아가는 돈도, 명예도, 권력도 아닌,
서로 다른 삶의 처지에 함께하려는 마음이고,
그 마음이 모여 공동체가 필요로 하는 제도와 법이 생기는 것입니다.
빵의 기적은 예수님께서 베푸신 무한한 사랑이나 자비로만 읽어서는 안 됩니다.
우리의 나눔이 예수님의 기적으로 승화될 수 있다는 믿음으로의 초대가 빵의 기적 이야기입니다.
아무리 제 것이라도, 함께 나눌 것인가, 혼자 누릴 것인가,
예수님께서는 어떻게 하셨을까요? (박병규 요한 보스코 신부)
'성경 자료 > 오늘복음 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 오늘 이 성경 말씀이 이루어졌다. (0) | 2020.01.09 |
---|---|
1/8 제자들은 예수님께서 호수 위를 걸으시는 것을 보았다 (0) | 2020.01.08 |
1/6 하늘 나라가 가까이 왔다 (0) | 2020.01.06 |
1/5 우리는 동방에서 임금님께 경배하러 왔습니다 (0) | 2020.01.05 |
1/4 우리는 메시아를 만났소 (0) | 2020.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