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436

복음 선포와 청중

1. 공관복음서 안에서 나타나는 차이점과 메시지를 정확히 이해하려면 복음 선포의 청중이 여러 그룹이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복음 선포의 본질은 같았지만, 선포의 강조점과 방법, 표현 등은 대상에 따라 달랐다.구분 구 성 청 중 상 황 복음 선포 과정1구룹팔레스틴에 거주하는 유다인들(自國 거주 유다인들)①아람어를 사용하는 유다인들로서 ②θ에 대해서 잘 알고,③θ을 공경하고 경외하고, ④율법대로 살아가는 사람들. ※당시 공용어는 ‘희랍어’였지만 예수시대에도 일상어는 아람어였다. ․청중의 상황과 처지에 맞게 복음이 전파. ⇒․ ①과 ②그룹에게는 θ을 알고 있으므로 강조할 필요가 없고․ 메시지 자체를 ..

성경 읽기 방법

성경 읽기 방법 ; 성경 읽기 작심삼일 되지 않으려면단단히 먹은 마음이 사흘을 넘기지 못한다는 作心三日, '성경통독 도전'을 선언하고 창세기부터 펼친 사람치고 이 사자성어에 굴욕(?) 당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엄청난 두께에 지치고, 깨알 같은 글씨에 금세 지루함을 느껴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성경에 맛들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 이인옥(체칠리아, 수원가톨릭대 성경연구실) 실장에게 성경을 즐겁게 읽을 수 있는 비결을 물었다. 이 실장은 "성경을 '재밌는 이야기'라고 생각하고 부담 없이 읽으라"며 “성경읽기를 목표로 하지 말고, 말씀 안에 머무르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

이스라엘 역사 요약

이스라엘 역사 요약 (매우 중요)1. 이스라엘 민족의 기원(민족형성 준비기간) : 성조시대 ①Is이 역사의 무대에 등장 : 기원전 1200년경, 그 보다 앞서 오랜 세월에 걸친 민족형성 준비기간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 ②이스라엘 사람들의 원 조상 : 셈(Sem)족, 셈족은 : 半유목민, 기원전 2000년대에 초생달 지방에 정착. 이들 반유목민 중 잘 알려져 있던 집단은 : 아모리족, 아람족 등. ☞성서는 : 성조들을 소개. 성조들이 팔레스티나에 정착한 것은 기원전 1850년경으로 추정. ③그뒤 후손들은 : 다른 유목민들과 함께 물과 草地를 찾아 이집트로..

성서의 형성사

1. 성서는 : 하느님의 말씀. θ께서 인간들에게 들려주고자 하시는 말씀이 기록되어 있는 책 ⇒ 핵심 메시지는 구원. ․舊約(옛 계약) : θ과 Is백성간에 맺어진 계약. 46권 ․新約(새 계약) : 예수 안에서 완성된 새로운 계약. 27권2. 성서의 범위는 : 가톨릭과 유다교, 개신교간에 다소 차이. ․ 유다교에서는 : Je를 메시아로 인정× ⇒ 신약성서가 없다. ․ 구약성서는 대부분이 히브리어로 기록. 유다교, 개신교 = 히브리어 성서 39권 인정. 가톨릭 = 히브리어성서 39권 + 희랍어성서 7권(제 2경전)=46권 ․ 신약성서는 전체가 그리스어로 기록 : 개신교와 가톨릭이 같다.3. 구약성서 형성사 ①처음에는 : 口傳으로 전승(노래, 무용담, 격언, 교훈적 설화 등의 형태.)※구..

성수와 세례수 그리고 성유는 어떻게 만들죠?

1. 성수와 세례수. 성수는 그 사용 목적에 따라 그만큼 우리 일상에 밀접하게 놓여 있습니다. 반면에 세례수는 세례성사라는 특별한 사건을 위해서만 사용되기에 일상적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성수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예를 들어 보면, 성당에 들어갈 때 성수를 찍어 성호를 그으며 개인을 정화하고 축복합니다. 미사 초반에 성수를 축복하여 회중들에게 뿌림으로써 참회 예절('전능하신 하느님과 형제들에게 고백하오니...")을 대신하기도 합니다. 성당 밖에서도 사람을 축복하거나 사물을 축복할 때, 집이나 사무실을 축복할 때 성수를 뿌립니다.성수는 미사 때 또는 미사 외에 필요할 때마다 사제나 부제가 축복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성수를 많이 만들어 장기 보관할 때는 물의 부패를 막기..

성호경

성호경(聖號經)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십자성호(十字聖號)를 그으면서 외는 가장 짧지만 가장 중요한 기도문이다.↳ 모든 기도의 시작과 마침 및 모든 일의 전후에 이 성호경을 바치는 것은 모든 일을 성부(聖父)와 성자(聖子)와 성령(聖靈)의 이름으로 한다는 의미이다.하느님은 한분이시지만 성부, 성자, ·성령의 세 위격(位格)을 가지고 계신다는 삼위일체의 신앙을 고백하는 것이다. 성호(聖號) 그리스도교 신앙을 나타내는 가장 널리 알려진 십자 모양을 긋는 것이다.↳ 성호는 십자가의 죽음을 통해 인류를 구원한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과 삼위일체의 신앙을 고백하는 것이며, 동시에 가톨릭 신자임을 알리는 표시가 된다. 󰁮..

성체에 대한 신심행위

성체신심은 미사중에 거행되는 성체성사를 통하여 축성된 빵과 포도주의 실체 안에 예수 그리스도께서 현존하신다는 믿음과 성체에 대한 공경을 표현하는 신심행위를 말한다.성체신심은 주로 미사 밖에서 이루어지는 신심행위로 △성체현시 △성체조배 △성체강복 △성체거동 △성체대회 등이 있다. 성체조배는 감실 안에 모셔져 있거나 현시돼 있는 성체 앞에서 개인적, 공동체적으로 기도하며 경배를 드리는 행위다. 성체현시는 성광(聖光, 성체를 모시는 둥근 형태의 성구)을 이용해 성체를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제대 위에 모셔 놓은 것을 말한다.성체강복은 성체조배와 현시, ..

성화나 성상을 모시는 건 우상숭배가 아닌가요?

가톨릭 신자들은 십자가에 매달린 예수님이나 성모상에서 시작해서 다양한 성인들의 모습을 그림이나 상으로 제작해서 성전, 성지, 심지어 집에도 모셔놓고 기도합니다. 단순히 건물을 미관상 꾸미려는 의도 이전에, 이 사물들이 그 공간에 거룩한 분위기를 연출해 주고, 성화나 성상을 바라보면서 신자들이 그분들의 삶을 따르도록 초대하는 효과를 노린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그리스도교 내에서 오랫동안 이어져 온 전통이기에 그리 이상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은 없습니다. 그런데 간혹 이런 신앙 행위에 대해 우상숭배가 아닌가 하는 질문을 제기하시는 분들이 계시고, 그것은 우리 신앙 행위에 대해 제기할 수 있..

성전이란?

하느님의 말씀이 기록된 것을 성경이라 하고 기록되지 않고 입으로 전해오는 것을 성전(聖傳)이라고 한다.예수님께서 33년 동안 하신 말씀이 4복음서에 다 기록되었다고 아무도 말할 수 없다. 성경과 성전을 비교해 볼 때 성경이전에 하느님의 말씀이 먼저 있었기에 성전이 먼저 있었다. 그러므로 성경의 원천이 성전이라고 할 수 있다.연대적으로 보아서도 신약성경의 제일 첫권이 나온 해가 약 기원 40년경이라고 하는데 벌써 이때는 예수님이 돌아가시고도 거의 10년 후였다. 그러니 그동안 성경은 없었고 오로지 성전밖에 없었다. 또한 성경의 記者들도 예수님의 말씀을 그 즉석에서 속기한 것도 아니다. 그러므로 성전도 성경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성전은 주로 성경에 기록되지 않은..

성경 속의 숫자와 의미

성경을 읽다 보면 3, 4, 6, 7, 12, 14, 40, 70, 666 등의 숫자가 자주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그리고 그 숫자가 쓰인 용도를 보면 일정한 연관성을 찾아 볼 수 있다.이는 각 숫자가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숫자는 영계와 육계를 이어주고, 창조의 중요한 원리이며, 진리와 과학의 기반이 된다.성경에 자주 쓰이는 숫자가 가지는 의미와 그 용도에 대해 참고적으로 알아 보겠다. * 목차0 (영적인 수, 없음)1 (하느님의 수, 처음, 유일, 절대, 단일, 통일, 고독)2 (분리, 짝, 결합, 조화, 사랑, 증인, 분쟁)3 (하늘 수, 영적인 완전 수, 부활 수, 확정, 거룩, 삼각형)4 (땅의 완전수, 창조, 물질, 질서, 안정, 방향, 세상, 실용, 방어, 사각형)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