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9,46-50
그때에 46 제자들 가운데 누가 가장 큰 사람이냐 하는 문제로 그들 사이에 논쟁이 일어났다.
47 예수님께서는 그들 마음속의 생각을 아시고
어린이 하나를 데려다가 곁에 세우신 다음, 48 그들에게 이르셨다.
“누구든지 이 어린이를 내 이름으로 받아들이면 나를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리고 나를 받아들이는 사람은 나를 보내신 분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너희 가운데에서 가장 작은 사람이야말로 가장 큰 사람이다.”
49 요한이 예수님께 말하였다. “스승님, 어떤 사람이
스승님의 이름으로 마귀를 쫓아내는 것을 저희가 보았습니다.
그런데 그가 저희와 함께 스승님을 따르는 사람이 아니므로,
저희는 그가 그런 일을 못 하게 막아 보려고 하였습니다.”
50 그러자 예수님께서 그에게 이르셨다.
“막지 마라. 너희를 반대하지 않는 이는 너희를 지지하는 사람이다.”
오늘의 묵상
사람마다 문제의 크기를 다르게 받아들입니다.
누군가에게는 작은 것이지만 또 누군가에게는 엄청나게 크게 다가오는 것이 세상의 상대적 논리입니다.
신앙생활도 그렇습니다. 굳이 내 편, 네 편을 갈라 세우거나 옳고 그름을 명확히 하는 것이 신앙이 아닙니다.
반대나 찬성이 명확해서 도저히 타협할 수 없는 자리에 신앙의 가능성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하이데거의 제자였던 독일의 정치 이론가 한나 아렌트의 표현을 빌리자면 악은 평범합니다.
악은 결코 섬뜩한 악마의 모습으로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인자한 아버지의 모습일 수도, 해맑은 아이의 모습일 수도 있습니다.
악은 제 모습을 숨기고 나타나는 절대적 존재가 아니라,
선한 것 안에서도 옳은 것 안에서도 얼마간의 부족함과 어긋남으로 발생하는 것이기도 하지요.
세상은 쉬운 답을 원합니다. 사실 쉽다기보다는 편한 답을 원합니다.
모두가 인정하는 답, 모두가 그럴 것이라 추정하는 답 말입니다.
그래서 낯설고 불편한 답은 옳더라도 피하는 것이 세상입니다.
오래전 어렸을 때, 동네에 서커스단이 오면 그렇게도 가고 싶었지요.
그러나 문 앞에서 호객하는 서커스단 관계자의 말은 늘 이랬습니다.
“애들은 가라!” 이 말을 다시 고쳐 보면, 애들은 돈이 안 된다는 말과 다를 바가 없습니다.
오늘 복음에 예수님께서는 그 ‘애들’을 당신 곁에 세우십니다. 인간이 덜된 존재로 하찮게 여기던 어린이를 통하여
가장 큰 것을 보시는 예수님을 사람들은 불편해했고 죽이기까지 합니다.
누가 큰 사람인지 답이 분명한 사회는 죽은 사회입니다.
누구든 큰 사람이 될 수 있다는 설렘이 가득한 사회는 하느님 나라가 멀지 않은 사회입니다.
지금의 기준으로 선악과 정의를 논하면서 흡족해하는 이들의 편협성을 오늘 복음은 질타합니다.
절대 선과 정의를 좇고 있는 신앙인은 자신의 판단과 식별 안에 아름다운 척하는 섬뜩한 악마가 함께 있음을
늘 기억해야 합니다. 자신의 판단과 식별을 과신하지 말아야 할 이유입니다.
(박병규 요한 보스코 신부)
'성경 자료 > 오늘복음 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9/30 어디로 가시든지 저는 스승님을 따르겠습니다. (0) | 2020.09.30 |
---|---|
9/29 너희는 하느님의 천사들이 사람의 아들 위에서 오르내리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0) | 2020.09.29 |
9/27 맏아들은 생각을 바꾸어 일하러 갔다. 세리와 창녀들이 너희보다 먼저 하느님의 나라에 들어간다. (0) | 2020.09.27 |
9/26 사람의 아들은 넘겨질 것이다. (0) | 2020.09.26 |
9/25 예수님은 하느님의 그리스도이십니다. 사람의 아들은 반드시 많은 고난을 겪어야 한다. (0) | 2020.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