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백의(長白衣)는 기독교의 전례복 가운데 하나이다.
하얀색 아마포를 소재로 만든 것으로 발목까지 내려오는 헐렁한 웃옷을
통상 허리 부분을 띠로 묶어 매는 방식으로 입는다.
고대 로마 사람들이 입었던 수수한 튜닉에서 유래하였다.
중세 유럽 초기에는 일반적으로 재속 사제들이 전례용이 아닌 용도로 입었다.
고대부터 내려온 전례복인 장백의는 일찌감치 기독교인,
특히 성체성사를 집전하는 성직자들에 의해 일찌감치 채택되었다.
오늘날 장백의는 로마 가톨릭교회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기독교 교파에서
예식을 집전할 때 입는 공통된 예복이며,
성직자 외에도 성체 분배권자도 입을 수 있다.
장백의는 수단과 기타 영대, 달마티카 또는 제의와 같은 특별한 의복 위에 입는다.
만약 장백의가 수단의 목을 다 덮지 못하면
장백의 아래에 개두포를 먼저 착용할 것을 필수적으로 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개두포 착용은 마음대로이다.
교회 밖에서도 입으려고 의전사제들과 주교들에 의해 중백의와
소백의 같은 계통의 옷 등 장백의의 단순화가 일어났다.
트리덴티노식 장백의는 대개 레이스와 같이 만들어졌다.
많은 성공회 교구에서는 직사각형의 자수로 장백의를 장식한다.
장백의란 ?
- 발끝까지 내려오는 흰색의 옷
- 고대 그리스도인들과 로마인들의 소매 없는 옷에서 유래
- 육신과 영혼의 결백을 상징 : 수단을 가리기 위해 길이가 길어지고
무릎 끓기에 불편하지 않도록 폭이 넓어짐.
'기타 자료 > 카톨릭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형 영성체 와 단형 영성체 (0) | 2025.02.14 |
---|---|
제구의 종류와 용도 (0) | 2025.02.13 |
제대위의 십자고상과 초의 의미 (0) | 2025.02.11 |
가톨릭과 동방교회, 개신교의 차이점은 ? (0) | 2025.02.10 |
금식재와 금육재 (0)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