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자료/오늘복음 묵상

9/21 “나를 따라라.” 그러자 마태오는 일어나 예수님을 따랐다.

윤 베드로 2020. 9. 21. 07:24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9,9-13
그때에 9 예수님께서 길을 가시다가
          마태오라는 사람이 세관에 앉아 있는 것을 보시고 말씀하셨다.
         “나를 따라라.” 그러자 마태오는 일어나 그분을 따랐다.
10 예수님께서 집에서 식탁에 앉게 되셨는데,
                    마침 많은 세리와 죄인도 와서
                    예수님과 그분의 제자들과 자리를 함께하였다.
11 그것을 본 바리사이들이 그분의 제자들에게 말하였다.
               “당신네 스승은 어째서 세리와 죄인들과 함께 음식을 먹는 것이오?”
12 예수님께서 이 말을 들으시고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튼튼한 이들에게는 의사가 필요하지 않으나 병든 이들에게는 필요하다.
13 너희는 가서 ‘내가 바라는 것은 희생 제물이 아니라 자비다.’ 하신 말씀이무슨 뜻인지 배워라.
사실 나는 의인이 아니라 죄인을 부르러 왔다.”

오늘의 묵상

전통적으로 마태오 복음의 저자를 세리 마태오로 여겼지만 학자들의 의견은 다릅니다.

여기서는 주석학 논쟁을 언급하기보다 교회가 왜 세리 마태오를

             마태오 복음의 저자로 여겼는지에 주목하여 묵상했으면 합니다.

예수님 시대에 세리는 민족의 배신자이자 하느님을 등진 죄인으로 낙인찍힌 사람이었습니다.

그런 사람을 복음서 저자로 여긴 초세기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이념은 상당히 파격적이었습니다.

초세기 신앙인이라고 우리와 다를 것이 있었겠습니까.

초세기 신앙인들이 예수님을 따르면서도 의심하고 주저한 흔적은 복음서 곳곳에 나타납니다.

그럼에도 세상의 이치와 논리에 따르지 않고 사회적으로 지탄받는 이들

            또한 교회 공동체와 함께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게 된 것은 순전히 예수님의 삶 때문이었습니다.

예수님께서 사회적 약자와 죄인들과 함께 식사를 즐기신 모습이 복음서에 숱하게 등장하지요.

쉽게 생각하고 지나칠 장면이 아님에도 우리는 대수롭지 않게 그 장면들을 읽습니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가장 비난받는 이들과 함께 식사를 하고 술 한잔 나누는 이가 있다면,

          그가 재림하신 예수님이시라면, 우리는 아마도 예수님을 비난하고 경고하고 훈계하며

           급기야 쫓아내고 죽일 수도 있을 것이라 저는 생각합니다.

예수님께서는 아픈 이에게 의사로 오셨습니다.

제 잘못으로 아프든 타인의 차별과 억압으로 아프든, 아픈 이가 있으면 일단 고쳐 놓고 보아야 하지 않겠습니까.

우리 사회에서는 많은 사건들이 터지고, 그로 말미암아 상처받은 이들이 수없이 많습니다.

자신의 일이 아니라고 함부로 내뱉는 비난의 말들이

          아픈 상처를 더 후벼 파는 죄인들의 무지함이라는 사실을 기억했으면 합니다.

알면 얼마나 알고 정의로우면 얼마나 정의롭겠습니까.

참된 지혜이시고 참된 공정을 펼쳐 보이시는 하느님이신 예수님께서는

       오늘 죄인 마태오와 함께 식사하십니다. 바리사이만 멀찍이 떨어져 있습니다.
(박병규 요한 보스코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