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3/13 복음 묵상
<저자가 상속자다. 자, 저자를 죽여 버리자.>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21,33-43.45-46
그때에 예수님께서 수석 사제들과 백성의 원로들에게 말씀하셨다.
33 “다른 비유를 들어 보아라. 어떤 밭 임자가 ‘포도밭을 일구어
울타리를 둘러치고 포도 확을 파고 탑을 세웠다.’
그리고 소작인들에게 내주고 멀리 떠났다.
34 포도 철이 가까워지자 그는 자기 몫의 소출을 받아 오라고 소작인들에게 종들을 보냈다.
35 그런데 소작인들은 그들을 붙잡아 하나는 매질하고 하나는 죽이고 하나는 돌을 던져 죽이기까지 하였다.
36 주인이 다시 처음보다 더 많은 종을 보냈지만, 소작인들은 그들에게도 같은 짓을 하였다.
37 주인은 마침내 ‘내 아들이야 존중해 주겠지.’ 하며 그들에게 아들을 보냈다.
38 그러나 소작인들은 아들을 보자, ‘저자가 상속자다. 자, 저자를 죽여 버리고
우리가 그의 상속 재산을 차지하자.’ 하고 저희끼리 말하면서,
39 그를 붙잡아 포도밭 밖으로 던져 죽여 버렸다.
40 그러니 포도밭 주인이 와서 그 소작인들을 어떻게 하겠느냐?”
41 “그렇게 악한 자들은 가차 없이 없애 버리고,
제때에 소출을 바치는 다른 소작인들에게 포도밭을 내줄 것입니다.”
하고 그들이 대답하자, 42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는 성경에서 이 말씀을 읽어 본 적이 없느냐?
‘집 짓는 이들이 내버린 돌, 그 돌이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었네.
이는 주님께서 이루신 일, 우리 눈에 놀랍기만 하네.’
43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하느님께서는 너희에게서 하느님의 나라를 빼앗아,
그 소출을 내는 민족에게 주실 것이다.”
45 수석 사제들과 바리사이들은 이 비유들을 듣고서 자기들을 두고 하신 말씀인 것을 알아차리고,
46 그분을 붙잡으려고 하였으나 군중이 두려웠다. 군중이 예수님을 예언자로 여겼기 때문이다.
오늘의 묵상
포도밭 소작인의 비유는 신약 성경의 독특한 비유입니다. 이 비유의 초점은 종교 지도자들입니다.
구약 성경에서부터 포도밭은 하느님의 백성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사용됩니다.
이 비유에서 밭의 주인은 하느님이시고, 주인이 애써 일군 포도밭은 하느님 백성입니다.
하느님께서는 백성을 모으시고 그들을 잘 이끌도록 종교 지도자들을 세우십니다.
여기서 종교 지도자들은 소작인으로 비유됩니다.
포도 철이 되자 주인은 소출을 받아오도록 소작인들에게 종들을 보냅니다.
소출은 하느님 백성이 하느님의 뜻을 따라 살아가며 맺는 열매일 것입니다.
종들은 하느님께서 백성과 백성의 지도자들에게 지속적으로 파견한 예언자들을 가리킵니다.
그러나 소작인들은 종들을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실제로 많은 예언자들이 그들에게 거부당하였고 심지어 목숨을 잃기도 하였습니다.
그럼에도 포도밭 주인은 자비로운 모습을 보여 줍니다.
그는 아들을 소작인들에게 보냅니다. 그런데 소작인들은 그 아들마저 죽이고 포도밭을 차지하고자 합니다.
주인이 보낸 아들은 우리를 위하여 세상에 오신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그분께서는 백성의 지도자들에 의하여 십자가에 못 박혀 돌아가셨습니다.
이 비유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백성을 향한 하느님의 사랑과 자비입니다.
비록 지도자들이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하느님께서는 포기하지 않으셨고
결국 당신의 아드님마저 우리를 위하여 내어 주셨습니다.
그리고 그 사랑과 자비는 지금까지도 이어집니다. (허규 베네딕토 신부)
'성경 자료 > 오늘복음 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3/15 솟아오르는 영원한 생명의 샘물 (0) | 2020.03.15 |
---|---|
3/14 너의 아우는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다 (0) | 2020.03.14 |
3/12 너는 좋은 것들을 받았고, 라자로는 나쁜 것들을 받았다. (0) | 2020.03.12 |
3/11 그들은 사람의 아들에게 사형을 선고할 것이다 (0) | 2020.03.11 |
3/10 그들은 말만 하고 실행하지는 않는다 (0) | 2020.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