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느님의 어린양 : 희생 제물로서 예수 그리스도 상징
1. 洋
①洋은 草食動物로 성질이 매우 온순하다. :
양에게 먹이를 주거나 위험에서 구해 주면 양은 그것을 기억하고
몸으로 신뢰의 정을 나타낸다고 한다.
②양은 사자나 이리 등 맹수 공격을 방어할 뿔이나
날카로운 발톱, 이빨과 같은 것이 아무 것도 없다.
따라서 맹수의 공격 앞에서
양은 다만 목자에게 온전히 보호를 요청해야한다.
③양은 하나도 버리는 것이 없는 유익한 동물 :
털과 가죽은 섬유와 의류로, 고기와 젖은 음식으로 사용한다.
.
④양은 다른 양을 따라 행동하는 습성이 있다. :
예를 들어 앞서 가는 양이 구덩이에 빠지면 뒤따르는 양은
피할 줄 모르고 계속해서 그 구덩이에 빠진다고 한다.
⑤양은 성질이 유순해 양털을 깎을 때 온 몸을 내맡기고
혹시 상처가 나더라도 묵묵히 참는다.
⑥양은 성경에서 가장 자주 언급되는 동물 :
구약시대 Ɵ 앞에 바친 많은 제물 중에 대표될 만한 것이
흠 없고 순진한 1년 된 양이었다.
⇒Is 백성은 : 이집트 노예 생활에서 탈출하기 전날 밤
양의 피를 문설주와 인방(引枋)에 바르고 그 안에서
양고기를 불에 구워 먹고 누룩 없는 빵과 쓴 나물을 먹었다.
그들은 허리에 띠를 띠고 발에 신을 신고 지팡이를 잡고
급히 먹었다(탈출 12, 6-11).
이스라엘 백성의 다급한 상황을 잘 연상할 수 있다.
2. 목자
①성경에서 양을 치는 목자에 대한 언급은 백 번이 넘게 나온다.
그만큼 양을 치는 목자는 성경에서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나타낸다.
⟹아브라함, 이사악, 모세, 다윗, 아모스는 모두 목자들이다.
목자들이 항상 남자는 아니다.
리브가(창세 29, 9)와 이드로의 딸들은 여자 목자다.
②양들을 밤에 양우리에서 돌보고 풀과 물이 있는 곳으로
안전하게 인도하는 것은 목자 임무다.
③목자들은 양들을 맹수들로부터 보호하려고
지팡이와 막대기를 지니고 다닌다.
3. 양의 상징
①양들은 구약 희생제사 제도에서도 매우 중요했다.
양들의 무력함은 : 성경에서 돌봄과 자비의 대표적 예로 등장하는
선한 목자의 행동과 성품을 잘 설명해준다.
②양은 희생 제물로서 예수그리스도를 상징한다.
세례자 요한은 이러한 예수님에 대해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느님의 어린양에 비유했다(요한 1, 29).
⟹하느님의 어린양 사상.
③신약에서 예수님은 종종 어린 양으로 비유됐다.
사도 베드로는 그리스도를 “흠 없고 티없는 어린 양”
이라고 찬양했다(1베드 1, 19).
⇒이처럼 예수님께서는 희생적이신 목자인 동시에
인간 구원을 위해 희생되신 양이셨다.
'성경 자료 > 신약공부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원한 생명 (0) | 2014.04.05 |
---|---|
예수님의 제자단(弟子團) 붕괴 (0) | 2014.04.05 |
예수님의 설교 (0) | 2014.04.05 |
2014년 4월 1일 오후 02:04 (0) | 2014.04.01 |
肉身의 부활이란? (0) | 2014.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