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3/18 복음 묵상
<스스로 계명을 지키고 또 그렇게 가르치는 이는 큰사람이라고 불릴 것이다.>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5,17-19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17 “내가 율법이나 예언서들을 폐지하러 온 줄로 생각하지 마라.
폐지하러 온 것이 아니라 오히려 완성하러 왔다.
18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하늘과 땅이 없어지기 전에는,
모든 것이 이루어질 때까지 율법에서 한 자 한 획도 없어지지 않을 것이다.
19 그러므로 이 계명들 가운데에서 가장 작은 것 하나라도 어기고
또 사람들을 그렇게 가르치는 자는 하늘 나라에서 가장 작은 자라고 불릴 것이다.
그러나 스스로 지키고 또 그렇게 가르치는 이는
하늘 나라에서 큰사람이라고 불릴 것이다.”
오늘의 묵상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할까? 어떻게 사는 것이 신앙인으로서 합당한 길일까?
나는 아는 것이 별로 없는데 무엇을 해야 할까? 하느님께서 나에게 원하시는 것은 무엇일까?
기도는 어떻게 하고 또 무엇을 실천하며 사는 것이 올바른 것일까?
성경에 나오는 인물들만이 아니라 지금 우리도 수없이 던지는 질문입니다.
율법은 이런 질문들에 가장 효과적으로 답하는 방법이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사람들은 율법의 본질적 역할은 잊은 채
글자 그대로 이를 따르는 데에만 관심을 두었습니다.
그리하여 율법은 점점 형식화되고 사람들에게 죄의식을 심어 주는 것으로 바뀌어 갔습니다.
자신을 위한 도구가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판단하는 도구가 된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강조하신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에 대한 계명은 율법의 의미를 되살렸습니다.
지금도 우리의 삶을 가늠해 보고 성찰할 수 있는 계명과 율법이 있습니다.
이것은 하느님을 향하여 가는 바른길을 가리키는 이정표이자 우리가 신앙인으로 살아가도록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계명과 율법의 가르침을 지키는 것은 중요합니다.
그렇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 의미를 깨닫는 것입니다.
율법 안에 담긴 하느님의 뜻을 따르는 것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율법은 사라지지 않습니다.
여전히 우리에게 하느님의 뜻을 찾고 따르도록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스스로 지키고 또 그렇게 가르치는 이”가 될 수 있어야 하겠습니다. (허규 베네딕토 신부)
'성경 자료 > 오늘복음 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0 주 우리 하느님은 한 분이신 주님이시니, 그분을 사랑해야 한다 (0) | 2020.03.20 |
---|---|
3/19 요셉은 주님의 천사가 명령한 대로 하였다 (0) | 2020.03.19 |
3/17 너희가 저마다 자기 형제들을 용서하지 않으면 아버지께서도 너희를 용서하지 않으실 것이다 (0) | 2020.03.17 |
3/16 예수님께서는 엘리야나 엘리사처럼 유다인들에게만 파견되신 것이 아니다 (0) | 2020.03.16 |
3/15 솟아오르는 영원한 생명의 샘물 (0) | 2020.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