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18 복음 묵상
<나는 의인이 아니라 죄인을 부르러 왔다.>
✠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2,13-17
그때에 13 예수님께서 호숫가로 나가셨다.
군중이 모두 모여 오자 예수님께서 그들을 가르치셨다.
14 그 뒤에 길을 지나가시다가 세관에 앉아 있는 알패오의 아들 레위를 보시고 말씀하셨다.
“나를 따라라.” 그러자 레위는 일어나 그분을 따랐다.
15 예수님께서 그의 집에서 음식을 잡수시게 되었는데,
많은 세리와 죄인도 예수님과 그분의 제자들과 자리를 함께하였다.
이런 이들이 예수님을 많이 따르고 있었기 때문이다.
16 바리사이파 율법 학자들은, 예수님께서 죄인과 세리들과 함께 음식을 잡수시는 것을 보고
그분의 제자들에게 말하였다.
“저 사람은 어째서 세리와 죄인들과 함께 음식을 먹는 것이오?”
17 예수님께서 이 말을 들으시고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건강한 이들에게는 의사가 필요하지 않으나 병든 이들에게는 필요하다.
나는 의인이 아니라 죄인을 부르러 왔다.”
오늘의 묵상
부르고 응답하는 곳에 신앙이 있습니다.
신앙은 관계의 예술입니다.
각자의 신분과 계급, 능력과 의지와는 다른 차원에서 신앙을 이해해야 합니다.
신앙은 ‘우연’ 속에서 ‘필연’을 만들어 가는 고된 작업입니다.
뜻하지 않은 기회에 누군가 나의 뜻과 다른 무엇을 제안할 때,
제 의지와 능력으로 도무지 해결할 수 없는 황망함이 가득할 때, 신앙은 비로소 시작됩니다.
레위가 그런 신앙을 우리에게 알려 줍니다.
제 삶의 자리를 박차고 예수님의 뒤를 따라갈 수 있는 신앙은 앞뒤 계산하지 않는 무모한 결단에서 시작합니다.
‘우연’을 ‘필연’으로 만드는 것은 전적인 의탁이고, 그 의탁은 제 삶의 일정 부분을 내어놓고
또 다른 새것으로 제 삶을 꾸며 가는 상업적 거래가 아닌,
자신과 자기 자신의 결단에 대한 완전한 신뢰이기도 합니다.
의사에 빗대어 보면, 신앙의 전적인 의탁이 삶을 완성으로 이끈다는 사실을 더욱 선명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픈 이가 의사에게 제 생명을 완전히 맡기는 것은, 그가 자신의 병을 낫게 할 수 있다는 믿음의 표현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가 당신의 노예가 되는 것을 원하지 않으십니다.
간절히 하느님을 찾고 온전히 자신을 그분께 의탁할 때, 하느님께서는 우리와 신앙 안에 하나가 되십니다.
신앙은 관계의 예술이고, 하느님께서는 그 예술 작품의 작가이시며 우리는 그분의 작품입니다.
(박병규 요한 보스코 신부)
'성경 자료 > 오늘복음 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0 신랑이 혼인 잔치 손님들과 함께 있다 (0) | 2020.01.20 |
---|---|
1/19 보라,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하느님의 어린양이시다 (0) | 2020.01.19 |
1/17 사람의 아들이 땅에서 죄를 용서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 (0) | 2020.01.17 |
1/16 그는 나병이 가시고 깨끗하게 되었다 (0) | 2020.01.16 |
1/15 예수님께서는 갖가지 질병을 앓는 많은 사람을 고쳐 주셨다 (0) | 2020.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