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출기 요약
탈출기(Exodus)
① ‘출발’을 의미
②히브리어 (베 엘레 쉐못 “그리고 이름은 다음과 같다”)
③출애굽기라는 공동번역의 제목은 중국성경의 제목을 번역함 것임
시대적 배경 : 기원전 1500-1250년경
①왕궁과 나일강이 가까움 (공주가 목욕 나옴)
②요셉을 모르는 새 임금 : 아모시스1세 (기원전1550),
라메세스 2세 (1304-1230년)
③430년 머물음 (12, 40)
저자 : 이스라엘 민족의 신앙과 종교 예식의 기원에 대한 구전 전통을 중심으로
탈출사건 이후 수백 년 후에 씌여진 것으로 저자는 미상
개관 : ①이스라엘 민족의 형성 (창세기 : 세상의 탄생)
②계약 체결과 전례적 율법규정 (시나이 계약)
③하느님께 대한 앎의 여정 : 이름을 알려주심 (3장),
기적을 행하심 (12-14장), 광야생활 이끄심
구조와 내용 : 1-18장 학가다 (이야기),
19-40장 할라카 (법률)
1. 이집트에서 억압받는 백성 (1,1-7,7)
이집트에서 노예로 억압받는 이스랑엘 백성의 모습과
하느님께서 이들을 해방시키기 위해 인도자로 삼으신 모세의 출생,
유년기 그리고 소명사화 소개
2. 이집트에 내려진 재앙들 (7,8-11,10)
①모세가 하느님께서 명하신대로 이집트에서 행한 9가지 재앙과
이집트 땅의 모든 맏배를 죽이는 10번째 재앙에 대한 예고
②9가지 재앙은 자연적으로 일어난 일들을 과장한 것임.
3. 파스카와 이집트 탈출 (12:1-15:21)
①10번째 재앙과 이집트 탈출을 기념하여 지내야하는 파스카 축제,
그리고 마침내 실현되는 이집트 탈출과 갈대 바다를 건너는 이야기
②파스카 축제 : 양고기 (문설주에 바르는 양의 피)와 누룩 없는 빵
⇒ 하느님의 해방선물을 기념하는 것으로 파스카 축제는
종교적 독립기념일 (Religious Independence Day)이라 할 수 있음.
③예수님도 이 파스카 기념하면서 마지막 만찬을 하시고
당신을 파스카 희생양으로 내드림.
그리스도인은 예수님을 새로운 파스카로 봄.
④그의 죽음과 부활로 죄와 죽음을 포함한 모든 속박에서 해방됨
⑤15장 (모세의 노래)는 이스라엘 최초의 찬양
미리암의 노래 (15,21)는 성서 중 가장 오래된 글
– 미리암이 저자로 알려져 있고 여성이 기도를 이끔을 보여줌.
4. 광야를 가로지르는 행진 (15,22-18,27)
①모세의 인도로 시나이산으로 향한 광야여정.
만나와 메추라기 제공, 아말렉족과의 전투의 승리
②아말렉 전투 중 모세의 중재기도 (다른 이들을 위한 기도 필요)
③의무 나누기 (장인 이트로의 조언)
5. 시나이 계약 (19,1-24,18)
①하느님과 이스라엘 백성 간에 맺어진 시나이 계약과 계약법 소개.
하느님이 이스라엘을 당신 소유로 삼으심.
②10계명 (20,2-17)은 시나이 계약의 손쉬운 요약판 :
유대교, 그리스도교, 이슬람교에서 인간 공동체의 기본 구성요소로 존중함.
6. 성소와 직무에 관한 지시 (25,1-31,18)
①성막과 그곳에서 사용될 각종 기구의 모형에 대한 규정,
사제들을 성별하기 위한 예식, 번제물에 관한 규정
②계약 궤 : 금도금 상자로 속죄판 및 다른 성물을 넣음.
고리를 달아 금도금한 막대기로 꿰어 이동 가능하게 만듬.
③40년간 광야 생활동안 (민수 10,33-36),
가나안 땅으로 들어갈 때 요르단 강 가름 (여호 3,1-17),
전쟁 중에도 들고 나감 (1 사무 4,1-11),
다윗이 전쟁에서 잃었던 것을 찾아 예루살렘으로 가져옴 (1 사무 6,1-23).
솔로몬에 의해 성전에 안치됨 (1 열왕 8,1-11).
그러나 기원전 587년 예루살렘 멸망시 완전히 잃음.
7. 금송아지 사건과 계약 갱신 (32,1-34,35)
금송아지로 하느님과의 계약관계를 깨뜨린 사건과 그로 인한 계약 갱신 이야기
8. 성소 건설과 봉헌 (35,1-40,38)
①하느님의 명령대로 모세가 성막과 그 기물들을 만들어 하느님께 봉헌하는 이야기.
하느님께서 이 성막에 자리하시고, 낮에는 구름의 형상으로
밤에는 불의 형상으로 이스라엘 자손들과 함께하시며 당신의 현존을 드러내심.
※신학적 메시지
탈출기의 이야기와 율법은 구원의 하느님, 해방의 하느님이라는
유대교와 그리스도 신앙의 중심이 됨
이 이야기를 알지 못하고서는 예수님의 삶과 죽음,
부활의 의미를 진정으로 이해할 수 없음
①하느님께 대한 앎, 탈출기는 전체적으로 ‘앎’에 대한 대주제를 근간으로 함
②하느님이 누구이시며, 이스라엘 자신은 누구인지에 대한 인식(앎)을 목적으로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음.
③ ‘나는 있는 나다’ (야훼) (3,14)
– 히브리어 (YHWH) 4글자를 하느님을 경외하기 위하여 발음하지 않게 되며
이를 나의 주님으로 번역되는 아도나이 (Lord)로 대체하여 사용함.
④탈출기가 제시하는 구원 (해방)의 의미
단순히 정치적, 해방, 억압으로부터의 자유를 의미하지 않음
하느님이 누구이신지를 모르는 인간의 무지, 하느님이 어떤 분이신지를 알았으되,
이내 잊어버리는 죄인 망각으로부터의 탈출을 의미.
'성경 자료 > 구약공부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52] 위대한 예언자 이사야 (0) | 2016.02.23 |
---|---|
[스크랩] [47} 종교 개혁의 왕 요시아 (0) | 2016.02.23 |
[스크랩] 이스라엘 12지파 비교 연구 (0) | 2015.12.16 |
[스크랩] 창세기 요약 (0) | 2015.11.25 |
[스크랩] 레위기 요약 1 (0) | 2015.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