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279

가톨릭 신자의 6대 의무

1. 모든 주일과 의무축일 미사 참여주일과 의무축일 미사에 빠지면 안 된다. 한국에서는 의무축일을 4번으로 정해놓았는데         1월 1일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 예수 부활 대축일(대부분 4월 1~2째 일요일),          8월 15일 성모 승천 대축일, 12월 25일 예수 성탄 대축일 4번이다. 2. 금육재와 금식재 준수금육과 금식을 지켜야 한다. 금육은 매주 금요일이고, 금식은 재의 수요일과 성 금요일에 의무적으로 해야 하는데,             금육은 날개 달린 동물 또는 4발 달린 동물의 고기나 국물을 먹지 않는 것이고,            금식은 하루 1끼는 먹고, 1끼는 간단히 요기만 하고, 1끼는 완전히 굶는 것이다. 다만 금육은 만 14세 이상부터, 금식은 만 21세부터..

신자들의 여섯 가지 의무

① 주일과 의무축일의 미사참례 ② 금육과 금식의 의무- 금육 : 만14세이상, 매주 금요일마다 금육- 금식 : 만18세-60세, 재의 수요일, 성금요일 금식※ 이웃사랑의 정신을 실천하는데 의미가 있음. ③ 고해성사의 의무- 우리나라의 경우 일년에 두 번 판공성사를 보도록 하고 있음. ④ 영성체의 의무- 첫 영성체를 한 신자는 일년에 한번이상 영성체를 해야 함. ⑤ 교무금의 의무- 교회유지와 교회사업에 사용됨. ⑥ 혼인성사와 관련된 교회법을 지켜야 할 의무- 신자간의 혼인계약은 성사가 아니면 유효하게 성립될 수 없음.

목사님이 로만 칼라를 해도 될까요~~?

로만 칼라를 하고 다니시는 목사님들이 종종 눈에 띄지요~~?로만칼라를 하고 다니시는 목사님들도 로만칼라의 의미를 알고                    로만칼라를 하고 다니시면 좋겠습니다.로만칼라(Roman Collar)는         로마가톨릭 성직자의 공식적 복장을 표시하기 위하여        목에 두르는 아마포로 된 희고 빳빳한 칼라를 말합니다.가톨릭교회를 정확히 표현할 때 로마가톨릭이라고 표기하고,        로만칼라는 전세계 로마가톨릭교회 성직자의 공통된 복장을         표시하는 상징물입니다.가톨릭성직자는 직무를 수행할 때 공식적으로           수단(soutane)을 입거나 로만칼라를 하고 검은 양복을 입습니다.하지만 자유로운 시간에는 어떤 옷이나 입을 수 있습니다.로만칼라의 정..

수단과 로만 칼라

수단(talaria) 의의: 수단은 가톨릭 성직자들이 평상시에 입는 공통된 제복으로,           목 부분에 로만 칼라가 있으며,발목까지 내려오는 긴 옷이다. 수단이란 말은 프랑스어로 '밑에까지 내려오는 옷'을 뜻한다. 이 말은 라틴어 탈라리스(Talaris: 발목까지 내려오는 옷)에서 왔다. 유래: 구약 시대 사제가 경신례를 행할 때는 특별한 제복을 입었는데 여기서 수단이 유래한다. 이는 온몸을 가려 하느님과 교회에 봉사하기 위해         자신을 봉헌하고 속세에서 죽었다는 표시이기도 하다. 그런데 성직자가 보통 외출 시에는 약식 제복으로 로만 칼라(Raoman Collar)만을 하는데,           이 흰 칼라는 독신의 정결과 성직자 신분을 나타낸다. 3세기까지만 해도 성직자들에게 오늘..

성직자란 ?

- 하느님의 거룩한 직무에 종사하는 사람- 하느님 말씀을 선포, 여러 성사의 거행, 하느님 백성을 지도 ※ 하느님과 직접 관련한 거룩한 직무 주교와 사제 : 그리스도의 사제직에 참여신부 : '영적인 아버지'라는 뜻교구소속 신부 : 교구내 본당에 파견되어 사목                          특수사목과 전문사목                           *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담당                           * 군인들을 위한 군종 사목                           * 노동, 빈민, 사회교정 사목 등 수도회 신부 : 수도자중 사제로 서품된 분

교황선거는 어떻게 ?

① 추기경단에 의해 선출          - 모든 추기경은 임명과 동시에 교황선출권을 갖게 됨. ② 2/3 다수결의 원칙          - 추기경단 투표수중 2/3에서 한표이상을 더얻어야 함. ③ 콘클라베 ('열쇠로 담근다'는 뜻)             - 교황서거후 15-20일 이내, 장소는 바티칸 시스티나 성당 ※ 투표기간동안 외부와의 접촉단절, 촬영이나 녹음금지※ 선거에 관련된 모든 기록은 교황청 고문서실 보관※ 투표선거결과 투표용지를 태운 연기로 알림           (검은 연기 : 선출안됨, 흰연기 : 선출)

교계제도

교계제도는 교황을 중심으로 하는 교회체제의 기본이며           신품권(神品權)에 의한 것과 재치권(裁治權)에 의한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신품권에 의한 교계제도는 미사 집전과 관련되는 주교, 사제, 부제의 세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재치권에 의한 것은 교회의 사명을 다하기 위한 입법, 사법, 행정권과 관련되는 것으로                교황과 주교의 권한을 말한다. 이러한 재치권은 사제와 부제들에게도 부분적으로 위임될 수 있고,            그 때문에 교회의 교계제도는 모든 계층의 성직자들을 다 포함한다. 즉 교계제도는 주님의 뜻에 따른 교회조직에 있어서의 제도적인 질서인 것이다. 신품권에 의한 교계제도                 - 미사집전과 관련해서 주교, 사제, 부제..

예수님의 상징적 표현들과 의미는?

① 알파(α) 오메가(Ω) - 희랍어의 첫글자와 마지막 글자는 하느님이신 예수그리스도를 지칭  '나는 알파요 오메가, 곧 처음과 마지막이며 시작과 끝이다' ② 물고기 - '예수, 그리스도, 하느님, 아들, 구세주'라는 희랍어의 첫글자들을 따서           '익투스'(ΙΧΘΥΣ)  즉 물고기라는 글자    * 예수는 예수스 Ι, 그리스도는 크리스토스 Χ,      하느님은 테오스 Θ, 아들은 휘오스 Υ, 구세주는 소테르 Σ ③ 키로 - 희랍어 '그리스도'의 처음 두글자 (PX가 겹친글자-그리스도로 읽음) ④ INRI - 라틴어 '유다인의 왕 나자렛 예수'라는 뜻의 첫글자들  I : 예수스(예수), N : 나자레누스(나자렛), R : 렉스(왕), I : 유데오름(유대인)

가톨릭 교회의 4가지 특징은 ?

① 하나인 교회- 오직 한 분이신 하느님을 모심- 하나의 신앙을 고백- 그리스도와 한 몸을 이루어 한 분이신 성령에 의해 생명을 얻음- 전례에 있어서도 교황님을 중심으로 교계제도안에서 일치를 이루고 있음 ② 거룩한 교회- 교회의 거룩함- 거룩함의 근원이신 하느님께서 교회 안에 살아 계시고,                  그리스도께서 친히 교회를 세우셨다는 뜻- 신자들은 은총에 의해 성화 되고 거룩해 짐 ③ 보편적인 교회- 그리스도께서는 모든 사람들을 위해 구원하러 세상에 오셨다는 의미- 하느님의 구원의지에 따라 모든 시대와 모든 민족,                   모든 사람에게 복음을 전하 고 구원의 은총으로 이끔 ④ 사도로부터 이어오는 교회

예수님이 비유로 말씀하신 이유

복음서에는 약 40개 비유가 나온다. 예수님의 다양한 비유 말씀은 예수님 당시 사람들뿐만 아니라                오늘날 우리에게도 생동감 있게 다가온다. 하느님 나라는 우리 논리와 상식을 뛰어넘는 신비이기에              비유 외에는 달리 설명할 방법이 없다.예수님 시대에 글을 쓰거나 읽을 줄 아는 사람은 극소수였다. 때문에 여러 부류 다양한 사람들을 상대로 설교할 때,             어렵고 지루한 설명은 피해야 했다. 누구나 쉽게 알아듣고 오래도록 기억하게 하려면 비유만한 것이 없다.아무리 심오한 하늘나라 진리라 해도 일상생활에서 겪는 체험을 바탕으로             설명한다면 귀에 쏙쏙 들어오기 마련이다. 마태오 복음사가는 예수님께서 비유 없이는 말씀하지 않으셨다고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