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477

소 묵시록

小 黙示錄 (Mk13장) : 종말 설교 *마르코 복음 13장은 : ‘작은 묵시록’. ①묵시 사상의 특징은 : ⓐ역사는 곧 끝장날 것이고 ⓑ그때에는 큰 위기가 닥친다. ⇒이를 알리는 우주의 大격변을 알아차리고 잘 대비하라는 가르침이 핵심.②이러한 묵시사상은 : ⓐ놀랍고 극적이며 ⓑ생생한 상징으로 가득 찬 묵시문학으로 표현되고, ⓒ널리 유포되었다. ⇒그중의 하나가 구약성서의 다니엘서. ③이런 분위기 속에서 그리스도인들도 묵시문학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특히 13장은 Mk 복음서 중에서도 묵시문학의 영..

묵시문학(黙示文學)이란?

묵시문학(黙示文學)이란? (Mk 13장)1.시기 : 기원전 200년경 - 서기 100년경 사이에 이스라엘에선 묵시문학이라는 종교문학이 성행했다.2.시대상황 : 이 시대는 Is 민족이 시리아 정권의 박해와 로마제국의 압제 아래 몹시 시달리던 난세였다. 묵시문학은 정치적 혼란 시기에 나오는 일종의 亂世 종교문학. 3.목적 : 아무리 애써 봐도 곤경을 벗어 날 길이 없기 때문에 失意에 빠진 백성에게 희망을 불어넣어 주고자 하는 종교적 염원. ⇒즉, 묵시서는 : ①저자를 숨기고 假名을 쓴다. ②잘 알아들을 수 없는 상징어를 사용한다. ③묵시서가 쓰여질 때에는 대단히 위기상태이다. ..

예루살렘 활동기

예루살렘 활동기 (마르코 복음서에 따른 활동기 ; 11-15장) 날 자 사 건Mk 본문 첫째 날 (일요일)예루살렘 입성 11,1-11둘째 날 (월요일)무화과나무를 저주하심(베다니아)예루살렘 성전 정화 11,12-14 11,15-19셋째 날 (화요일)논쟁들(5차례 논쟁) : 예루살렘 논쟁사화소묵시록(종말 설교)11,20-12,4413장과월절 이틀전 (목요일)한 여인이 향유를 부어드림최후만찬게쎄마니 동산에서 체포되심대사제 앞에서 심문 받으심베드로의 부인14,1-914,12-2614,32-5214,53-6514,66-72과월절 전날 (금요일)사형언도를 받으심십자가에 못 박히심숨을 거두심(오후 3시)무덤에 묻히심(날이 저문 후)15,1-2015,21-3215,33-4115,42-47안식일 (토요일) (..

예루살렘

①예루살렘은 3천여 년 전에 다윗왕에 의해 수도로 정해졌다. ②오늘날 유다교, 그리스도교, 이슬람교 세 종교가 이곳을 聖都로 삼고 있다. ③유다인들에게 : 이곳은 솔로몬왕이 세운 성전이 있었던 성스러운 곳. ⇒이 성전은 : 바빌론 유배에서 돌아와 재건되었고, 헤로데 왕이 다시 증개축했는데 로마인들이 파괴했던 곳이다. 이 성전에서 통곡의 벽인 서쪽 벽이 남아 있어서, 오늘날에도 유다인들이 이곳에 기도하러 간다. 그리스도인들에게는 : 예수님이 가르치시고 돌아가시고 부활하신 중요한 곳이다. 회교도들에 의하면 : 마호메트는 유다인들의 고성이 있던 자리에서 하늘로 날아올라 갔다고 한다. ⇒회교도들은..

베드로의 난동사건 배경

베드로의 난동사건 배경 (마르 8,22-33 요약)*예수는 : 베싸이다에서 눈 먼 사람을 고쳐주고(마르 8,22-26), 제자들과 함께 필립보의 가이사리아에 있는 여러 마을로 가다가 제자들에게 󰡒사람들이 나를 누구라고 하더냐?󰡓하고 묻는다. *제자들은 : ①세례자 요한이라고도, ②엘리야라고도, ③예언자 중의 한 분이라고도 한다고 대답한다.*이 말에 예수는 : “그러면 너희는 나를 누구라고 생각하느냐?󰡓라고 다시 묻고, 베드로는 : “선생님은 그리스도이십니다󰡓라고 하자(8,29), 이에 예수는 : 자기에 관하여 아무에게도 말하지 말라고 함구령을 내리신..

평신도 사도직 :

*平信徒 使徒職이란? : 평신도가 부여받은 사도직으로, θ께 영광을 드리고 θ 나라를 건설하기 위하여 평신도가 수행하는 모든 활동을 말한다. *平信徒란 : 교회를 이루는 하느님 백성 가운데 성직자와 수도자 신분을 제외한 모든 세례 받은 신자. 사도직은 : 사도의 직무를 말하고, 사도(使徒)는 : 사명을 띠고 파견된 사람으로, ‘파견’ 또는 ‘사명’을 뜻하는 그리스말 아포스톨레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우리는 예수님의 열두 제자를 사도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제자들이 하느님 나라를 선포하도록 예수님에게서 파견된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

바리사이파 사람들

바리사이파 사람들 ; 율법에 얽매이는 사람*바리사이들은 : 마태오, 마르코, 루가가 전하는 예수님의 수난기에는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 또한 요한이 전하는 수난기에도 무대 언저리에 한번 나타날 뿐이다(요한 18,3). ⇒이런 점으로 미루어 이들은 : 예수님의 체포, 심문, 처형 등에 직접적으로 가담하지 않았을 것으로 본다. *하지만 바리사이들은 : 당시의 다른 어떤 종교 집단보다도 예수님과 가장 많은 충돌을 빚어 왔고, 또 일찍부터 그분을 죽일 작정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성서에 보면, 바리사이파 사람들이 : 자주 위선자들의..

예수님의 말씀과 행적들의 분류

예수님의 말씀과 행적들의 분류 (문학양식에 따라, 例文은 Mk 복음)1. 예수의 말씀 ①비유 : 이런 비유들은 인간의 언어와 상상력으로는 도저히 설명할 수 없는 하느님 나라의 모습에 대해, 한두 가지 속성을 들어 표현한 것이다. ⇒비유는 : ․ 전체적으로 이야기의 흐름이 자연스럽고(쉽고), ․ 한 가지 뜻만 담으며, ․ 듣는 이에 따라 달리 해석될 수 있다. ⇒예수는 : 군중들에게 ‘하느님 나라’에 대하여 설명할 때 종종 비유를 들어 말했다(4,26-29 ; 4,30-32). ②단절어 : 단편적인 예수의 말씀으로, 말씀이 주어진 역사의 상황은 전승과정에서 사라지..

예수 시대의 종교 집단

종교 집단의 발생 : 기원전 152년 하스모네 가문의 요나단이 왕권과 대제관직까지 겸임하자 “경건한 사람들”이 반기를 들었다. ①그 가운데 평신도들이 주축이 되어 바리사이당을, ②일부 제관들이 주축이 되어 에쎄네당을 조직했다. ③그러나 대부분의 제관들과 예루살렘 유지들은 하스모네 가문에 동조하여 사두가이당을 조직했다.⇒사두가이들은 : 모세오경만 성경으로 인정하고 죽은이들의 부활을 부인했다. 사실 부활사상은 모세오경에는 없고 기원전 2세기에 비로서 Is에 싹튼 사조였던 것이다. 1). 바리사이파 : ①모세 율법을 중시하며, ②다른 파에 비하여 힘이 있고 열심하여 그리스도의 정신에 가장 가까웠으..

예수시대 이스라엘 상황

예수시대 이스라엘 상황 로마는 : 기원전 63년에 팔레스티나를 식민지화한 뒤, 각 식민지에 현지 출신 통치자를 앉히는 정책에 따라 헤로데를 유대인의 왕으로 삼았다. 예수는 헤로데 대왕이 다스리던 때에 태어났다. ⇒①로마제국은 : 팔레스티나 점령(기원전 63 - 기원후 313년)②예수 시대에도 로마 속국 : 유대왕은 이두메아(에돔) 출신의 헤로데. ③당시에는 메시아 待望思想 : 예수 활동 당시(27-30년) 정치적 독립을 잃은 유대인들은 다윗과 솔로몬 시대를 그리워하며 로마속박에서 해방시켜줄 이스라엘의 위대한 왕 메시아를 기대(종교적인 행사는 비교적 자유). ④40년대 초부터 로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