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363

대죄와 소죄

"죄란 이성과 진리와 올바른 양심을 거스르는 잘못이다. 죄는 어떤 것에 대한 비뚤어진 애착 때문에         하느님과 이웃에 대한 참다운 사랑을 저버리는 것이다." ​◇죄란 무엇인가 ​성경은 하느님께서 세상과 그 안에 있는 온갖 것을 지어내시고            사람을 당신 모습으로 창조하시고는          "보시니 손수 만드신 모든 것이 참 좋았다"(창세 1,31)고 전합니다.죄는 이렇게 "참 좋은" 하느님의 창조 질서를 침해하는 것을 말합니다.아우구스티노 성인은 그래서 죄를 "영원한 법에 어긋나는 말이나 행위나 욕망"이라고 정의했지요.하느님의 법에 어긋나는 죄는 "하느님께 대한 모욕"이자 "하느님께 대한 반항"입니다.나아가 죄는 우리에 대한 하느님의 사랑을 거슬러 맞서며            ..

기도하는 손

'앨버트 둘러' 라는 유명한 화가가 있었습니다. 이 화가는 어린 시절 무척이나 가난했기 때문에 미술공부를 열심히 하고 싶었지만                 학비를 댈 수가 없었습니다. 둘러는 자기와 같은 가난한 처지에 있는 친한 친구를 만나서 의논을 했습니다. 둘러의 친구는 둘러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둘러, 우리 처지로는 학비로 인해 우리가 학업을 계속할 수 없는데.. 이러면 어떨까? 네가 먼저 학교에 가서 열심히 공부를 하고, 나는 돈을 벌어서 먼저 너의 학비를 마련할게. 그리고 네가 학업을 마치면 그 다음에 또 네가 나를 도와 주면 내가 공부를 할 수 있지 않겠니?” 그렇게 둘러의 친구는 앨버트 둘러를 위해 땀 흘리며 쉬지 않고 일했습니다. 그리고 둘러에게 매달 학비를 보냈습니다. 둘러는 그렇게 ..

가톨릭 주요 축일

가톨릭 주요 축일 (성월, 대축일, 이동축일) - 2025년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세계 평화의 날)1/1 주님 공현 대축일1/51월 2일부터 8일 사이에 오는 주일주님 세례 축일1/12주님공현 대축일 다음주일*7일,8일 주일 공현대축일 - 바로 다음 월요일해외원조주일1/261월 마지막 주일 ; 하느님의 말씀주일(연중3주일, 1/26~주님봉헌축일 (축성 생활의 날)2/2 설 1/29음력 1월 1일 ; 세계병자의 날 2/11~재의 수요일3/5사순시기 시작성요셉성월3월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3/25 주님 수난 성지 주일4/13예루살렘 입성 - 성주간주님만찬 성목요일4/17주님수난 성금요일, 성토요일예수 부활 대축일4/20장애인의 날 4/20성모성월5월 생명주일5/45월 첫주일 , 청소년주일(5월 마지막 주..

금식제와 금육제

금식제 : 주로 하느님께 대한 순종과 이웃에 대한 사랑을 실천하기 위해                        음식을 절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금식은 만 18세 이상에서 만 60세 미만의 신자가 지켜야 하며,                           재의 수요일과 성금요일에 시행됩니다.  금육제 : 특정한 날에 육식을 금하는 것을 의미하며,                           14세 이상의 모든 신자가 지켜야 합니다.               금육제일에는 고기와 고기로 만든 음식을 먹지 않지만,                          계란과 우유는 허용됩니다.

묵상의 여러 가지 방법(성경 묵상법)

말씀 묵상에는 특별한 형식이 필요한 건 아니지만,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읽기 : 말씀을 천천히, 반복해서 읽는다. 묵상하기 : 마음에 와닿는 구절이나 단어에 집중하여 의미를 깊이 생각한다. 기도하기 : 말씀을 통해 깨달은 것을 하느님께 아뢰며 기도한다. 1. 읽기: 말씀을 천천히 읽는다성경을 묵상하는 첫 번째 단계는 말씀을 천천히 읽는 것. 단순히 읽는 것을 넘어, 한 단어나 한 구절에 마음을 집중하여 읽어야 한다.   2. 되새기기: 반복해서 읽고 읊조린다성경의 구절을 반복해서 읽거나 작은 목소리로 읊조리며 되새기는 것은 묵상의 핵심이다. 반복을 통해 말씀이 마음에 스며들고 더 깊은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묵상'이란 히브리어 단어가 소리내어 읽다는 뜻이고 반복하다는..

미사보 쓰는 이유

미사보란 천주교 성당에서 미사 드릴 때(기도 할 때)                여성들이 머리에 쓰는 레이스를 뜻합니다. 흰색 미사보가 대표적이지만 검은색도 있습니다.  1. 미사보 쓰는 이유 미사보를 쓰는 이유는 높은 존재 앞에서 자신을 낮춘다는 의미로                머리를 가리는 것입니다. 구약시대 때 부터 이어진 오랜 전통이라 하겠습니다.좀 더 정확하게 보자면 구약성경에서 리브가가 남편 이삭을 처음 만났을 때         얼굴을 베일로 가렸다는 이야기가 있고,          하느님을 만나러 다녀 온 모세의 얼굴이 너무 환하게 빛나           베일로 가리고 다녔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한국적으로 말하자면 웃어른을 만날 때 머리도 단정히 빗고                    옷매..

향주삼덕

향주삼덕(向主三德) 또는 향주덕(向主德)이란               '주님을 향한 또는 주님께 대한 세 가지 덕'이라는 뜻을 지닌 한자어로,                 믿음과 희망과 사랑의 덕을 말합니다.이 세 가지를 향주덕이라고 하는 이유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이 세 가지가 하느님과 직접 관련되기 때문입니다.가톨릭교회교리서는 "향주덕의 근원과 동기와 대상이 한 분이시고            세 위이신 하느님이시다"(1812항)라고 가르칩니다. ◇ 믿음 : 믿음은 삼위일체이신 하느님께 대한 믿음을 말합니다.믿음이라는 향주덕을 통해 우리는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말씀하시고 계시하신 것,또 교회가 우리에게 믿도록 제시하는 모든 것을 믿는 것입니다.하느님과 관계에서 우리에게 무엇..

모령성체

冒領聖體란 죄인이 죄의 사함을 받지 않고                     성체를 받아먹는 독성 행위(瀆聖行爲)                      즉 성체성사를 모령하여 받음으로써 성립되는 중죄(重罪). 영성체는 그리스도 의 거룩한 몸과 피를 나누어 먹고 마심으로써                  일치와 사랑을 드러내고 구현하는 것이므로                 영성체 를 하기 위해서는 은총 의 지위가 필요하다. 은총 의 지위에 있지 않은 신자가 스스로 중죄 중에 있음을 의식하면서              영성체를 하는 경우 모령성체가 된다.

스카풀라(scapula)

성물방에 가면 쉽게 볼 수 있는데요. 보통 성모님 그림이나 글귀가 적힌               두 개의 작은 천이 긴 끈으로 연결된 형태의 물건입니다.스카풀라는 생김새 때문에 ‘목걸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런데 사실 스카풀라는 목걸이가 아니라 옷입니다.수녀님들이나 수사님들이 꼭 앞치마 비슷하게 몸 앞뒤로 길게 걸쳐 입고 있는                        옷을 보신 적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이 옷이 바로 스카풀라입니다. 스카풀라(scapula)는 라틴어로 ‘어깨’라는 뜻입니다. 어깨너비의 천을 몸 앞뒤로 길게 늘어뜨려 입는 소매 없는 겉옷이기에                     이런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스카풀라는 초기에는 수도자들이 일할 때 수도복 위에 걸쳐 입는 옷이었는데요.  ..

예수님을 부르는 칭호들

신약 성경은 예수님을 부르는데 다양한 칭호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 까닭은 그 하나하나의 칭호가 예수님 안에 계시된 신비를 표현하고 있기는 하지만,                  단 하나의 칭호로 그분을 완전하게 표현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예수 : 예수라는 이름은 하느님께서 구원하신다는 뜻입니다.  예수님께서는 당신 백성을 죄에서 구원하시는 분이시기 때문입니다. 그리스도 : 그리스도는 히브리 말 메시아를 그리스 말로 번역한 것인데                     기름부음받은이를 뜻합니다. 구약 시대에 기름을 바르는 행위는 하느님께서 지도자로 뽑으신                     임금, 사제, 예언자가 취임하는 의식이었습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는 예언자이시고 대사제이시며 임금이신 예수님께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