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수난에 대한 첫 번째 예고(마르 8,31-9,1 ; 마태 16,21-28, 루가 9,22-27)
예 수 | 베 드 로 | ||
31Je께서는 고난받고-버림받고-죽었다가 -다시 살아 나신다는 것을 제자들에게 명백하게 가르쳐 주셨다. ⇒베드로의 메시아 신앙고백(8,29절)을 들으신 Je께서는 수난당하고 부활하는 메시아라는 것을 세 번에 걸쳐 예고 =즉, 당신이 어떠한 그리스도인지를 설명. 영광의 메시아 × ⇒ 수난 - 죽음 - 부활하는 메시아. | 32이 말씀을 듣고 베드로는 예수를 붙들고 그래서는 안 된다고 펄쩍 뛰었다.
: 베드로는 “Je을 그리스도”라고 고백했으나, 수난하는 그리스도인 줄은 상상도 할 수 없었다. ⇒그래서 스승을 나무랐던 것.
| ||
33베드로에게?사탄아, 물러가라. θ의 일은 생각하지 않고 사람의 일만 생각하는구나!?하시며 꾸짖으셨다. ⇒ Je께서는 : 베드로의 이런 태도에 대해 호되게 꾸중. ∵ Je는 θ의 뜻에 따라 고난의 길을 가는데 그 뜻을 역행하려는 베드로를 ?사탄?이라고 하심. = θ의 계획과 전혀 다르고 그 계획을 방해하는 것이기에, 베드로는 그런 유혹을 하는 사탄과 비슷한 존재로 간주. θ의 뜻을 따르기보다는 인간의 생각을 앞세우기 때문. |
| ||
34예수께서 군중과 제자들을 불러, (제자교육) 나를 따르려는 사람은 누구든지 자기를 버리고 제 십자가를 지고 따라야 한다. 제 목숨을 살리려는 사람은 잃을 것이며...죽기전에 θ나라가 권능을 떨치며 오는 것을 볼 사람들도 있다(8,35-9,1). : 8,34-9,1절 : 예수 추종 자세. 8,35-38절 : 네 마디 독립어구(단절어)를 모아 설명. 9,1절 : 제자들을 격려해주는 종말론적 말씀. | ←예수 추종 자세 ①자기를 버리고 ②제 십자가를 지고 따르는 것. |
*베드로가 : Je의 정체를 “선생님은 그리스도”(8,29)라고 고백하자,
⇒이제 어떤 의미의 그리스도신지 보충 설명이 필요하다.
그래서 Mk는 세 번에 걸쳐 수난과 부활에 관한 예고를 실어
고난을 당하시고 부활하시는 그리스도임을 강조한다.
*‘십자가를 지고 따른다’(34절)는 것은 무엇을 뜻할까? :
다른 사람을 위한 희생과 고통을 달갑게 받아들이라는 뜻이다.
*34절에서는 추종의 자세로?자기를 버릴 것?과
?제 십자가를 질 것?두 가지가 요구.
예수 추종의 자세 | |
1. 자기를 버리는 것 | 2. 제 십자가를 지는 것 |
?자기를 버리는 것?은 = 자기 중심으로 하려는 자아의 포기, 즉, 금욕주의나 자기 증오, 자기 배척을 뜻하는 것이 ×, 신앙을 선택했을 때 수반되는 박해와 어려움, 나아가 자기 목숨까지 내어놓는 것을 의미.
| ‘십자가를 지는 것?은 = 십자가를 받아들이는 삶을 의미. 십자가는 삶이나 외부로부터 오는 고통이나 부담을 수동적으로 참고 받아들이는 것 ×, 고통스럽지만 다른 이들을 위해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취하는 행위. 즉 희생과 고통.
|
이 두 가지 길은 누구든지, 즉 누구나 예외 없이 지녀야 할 자세. | |
※①“버린다” ⇒ “비운다” ⇒ “새로운 것”을 받아들일 자리 마련. “자기를 버리라”는 것⇒Je를 따르는 데 방해가 되는 것을 버리라는 것. ⇒ 가장 큰 장애물 = 자기 자신. ⇒∵자기 중심의 삶(재물, 명예, 쾌락...) → Je 중심의 삶(예수의 뜻에 맞게 : 사랑, 나눔).
②십자가 : 자기 중심의 삶 × → Je 중심의 삶 ⇒ 고통(십자가) 수반. 즉, 자기를 버리려면 자기 십자가를 져야 한다. |
'신약성경 공부 > 간추린 네복음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리야와 요한 ; 엘리야의 재림 논쟁(마르 9,9-13 ; 마태 17,10-13) (0) | 2019.04.04 |
---|---|
예수의 영광스러운 변모(마르 9,2-8 ; 마태 17,1-9, 루가 9,28-36) (0) | 2019.04.02 |
베드로의 메시아 고백(마르8,27-30 ; 마태16,13-20,루가 9,18-21,요한 19-27) (0) | 2019.04.02 |
믿지 않는 제자들(요한 6,60-65) (0) | 2019.04.01 |
베싸이다의 소경(마르 8,22-26) (0) | 2019.04.01 |